Quantcast
Channel: 베이비트리
Viewing all articles
Browse latest Browse all 4145

아나필락시스란 무엇이고 치료방법은?

$
0
0
20130513_6.jpg» 한겨레 자료 사진.

일명 알레르기 쇽으로 불리는 ‘아나필락시스’가 생명까지도 위협할 수 있다는 우려가 최근에 발생하였습니다. 이에 오늘은 아나필락시스(anaphylaxis)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합니다. 아나필락시스란 어떠한 물질에 노출되어 과민해진 후 다시 그 물질에 노출될 때 발생하는 면역학적 기전에 의한 급격하고 전신적인 신체 반응을 말한다.  

아나필락시스 반응의 증세는 다양하게 나타난다. 원인 물질이 도입된 경로나 도입 속도(경구, 피부, 주사), 과민한 정도, 도입된 양에 따라 달라지는데, 수분 이내에서 수시간 내에 반응을 보이며, 대체로 1시간 이내에 발생한다. 원인물질로는 소아에서는 식품과 약물이 가장 많았고, 이어 원인미상, 물리적 원인, 식품섭취 후 운동, 벌독 등의 순이었다. 

가장 흔한 증상은 가려움, 발진, 입술이나 혀, 입안 등이 부풀어 오르는 피부 증상은 물론, 코막힘, 콧물, 재채기, 기침 등의 호흡기 증상도 나타난다. 심한 경우 호흡곤란, 가슴 답답함, 쌕쌕 소리, 목소리가 쉬는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가슴통증, 맥박 빨라짐(드물게 느려짐), 저혈압, 쓰러질 것 같은 느낌, 심장마비로 사망에 이를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심혈관 증상은 특히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때로는 복통, 메스꺼움, 구토, 침 삼키기 어려움 등 위장관 증상이 나타나기도 하는데, 여성의 경우 심한 하복통, 요실금 등을 느낄 수 있다. 그 외 안절부절 못하거나, 의식이 나빠지는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이와 같은 증상은 한 환자에서 모두 나타나는 것은 아니며, 원인 물질이나 환자 상태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모든 알레르기 질환과 같이 아나필락시스 위험 인자가 있는 사람은 원인 물질과 접촉하지 않도록 하고 예방적 조치를 하는 것이 기본이다. 대부분 심한 아나필락시스는 예고 없이 갑자기 발생하므로 신속하게 진단해야 한다. 

아나필락시스 응급치료법 

보통 아나필락시스 증상이 나타나면 원인을 알고 있다면 제거해야 한다. 환자를 편안한 곳에 눕히고, 의식과 맥박, 호흡을 확인해야 하며, 신속히 119에 연락하거나, 주변에 도움을 요청해야 한다. 

에피네프린 주사약을 가지고 있는 경우, 주사하고 시간을 기록한다. 이밖에도 다리를 높게 유지해 혈액순환을 유지하고 산소가 있으면 마스크로 공급하고, 응급의료기관으로 신속히 이송하는 조치가 필요하다.



Viewing all articles
Browse latest Browse all 4145

Trending Artic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