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antcast
Channel: 베이비트리
Viewing all articles
Browse latest Browse all 4145

“보육시설 이용 여부 상관없이 가정에 아동수당 직접 지원을”

$
0
0

학부모들 ‘동일지원’ 요구 늘어
전문가들은 찬반 갈려
“아동복지 기본은 가족복지”
“보육 기반 투자가 우선”

정부가 전업주부의 어린이집 보육 수요를 낮추려고 ‘전업맘’과 ‘취업맘’ 지원책을 구분하겠다고 나서자 ‘편가르기’ 대책이라는 비판과 함께 보육시설 이용 여부와 무관하게 아동수당을 가정에 직접 지원해달라는 요구도 많아지고 있다. 현재 정부는 보육기관을 이용하지 않고 아이를 직접 기르는 양육자한테는 양육수당을 지급한다.

2살 아이를 어린이집에 보내는 전업주부 이아무개(36)씨는 26일 “어릴 땐 엄마가 아이를 돌보는 게 좋다면서 (전업주부라고) 지원을 줄이면 불공평하다. 아이를 보고 싶어도 경제적 이유로 재취업을 준비하는 엄마들이 많다. 어린이집에 보낼지 말지는 양육자가 선택해야 할 문제이니, 정부가 어린이집 이용 유무를 전제로 혜택을 다르게 주는 것은 불공정하다”고 말했다. 이씨는 ‘경력단절 여성’으로 아이를 하루 6시간 어린이집에 맡기고 그 사이 재취업에 필요한 교육을 받거나 면접을 보러 다닌다.

전문가들은 아동수당을 ‘기본적인 아동복지’로 보지만, 현실적으로 믿을 만한 보육 기반을 갖추는 게 우선이라는 의견도 있다. 이재완 공주대 교수(사회복지학)는 “아동 권리 관점에서 소득에 관계없이 가정에 아동수당을 지급하는 게 필요하다. 세계 100여개 국가가 이런 방식을 택하고 있다”고 말했다. 노혜련 숭실대 교수(사회복지학)도 “부모가 편안해야 아이도 잘 클 수 있다. 아이를 직접 키우는 부모를 신뢰하고 아동복지의 기본은 가족복지라는 인식이 필요하다”고 짚었다.

반면 각 가정에 아동수당을 일률 지급하기보다 보육 기반 투자가 우선이며, 현금 지원을 강화하면 도덕적 해이가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도 만만찮다.

백선희 서울신학대 교수(보육학)는 “지금은 보육의 질을 높이고 교사 노동조건도 개선하는 데 더 많은 투자가 이뤄져야 한다. 개인한테 수당으로 주면 현실적으로 보육 인프라를 구축하기 어려워 장기적으론 개인과 사회 모두에 바람직하지 않다”고 말했다. 이완정 인하대 교수(아동학)는 “저소득 가구일수록 현금을 지원받으면 이 돈을 어린이집에 보내지 않고 다른 곳에 쓸 가능성이 높다”며 “무엇보다 정부가 어린이집의 질을 관리할 근거가 사라진다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현금 지원만으론 부작용이 클 수 있다며 보육 서비스 전달체계를 개선하는 보완책을 병행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장경희 신성대 교수(사회복지학)는 “일본은 모든 가구에 아동수당을 지급하며 간병·취업 등 다양한 이유로 집에서 아이를 볼 수 없는 가정의 아이가 보육시설을 이용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이를 전체 어린이집의 45%가 넘는 국공립 어린이집이 뒷받침한다”고 말했다. 가정에서 아동을 양육하면 지금보다 지원액을 늘리겠다는 정부 계획대로라면, 취업보다 육아를 더 선호하는 ‘역선택’을 유도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는 우려도 많다.

앞서 문형표 보건복지부 장관은 지난 22일 “전업주부가 불필요하게 어린이집을 이용하는 수요를 줄이겠다”고 밝혀 큰 논란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박수지 기자 suji@hani.co.kr

Viewing all articles
Browse latest Browse all 4145

Trending Artic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