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를 그린 박수근의 연필드로잉. |
연필드로잉 모은 ‘가나아트컬렉션’
박수근 35점 30여년만에 공개
유화와 소재 같지만 다른 느낌
단순하지만 옹골찬 선 돋보여
이응노 미공개 담채화·드로잉도
가장 한국적인 화가로 평가받는 박수근(1914~1965)은 밑그림을 어떻게 그렸을까? 박수근 그림하면 그만의 특징인 깔깔한 화강암 표면 같은 화폭의 질감을 곧잘 떠올리게 되지만, 그의 드로잉필선은 아무래도 낯설다. 그림마다 화강암질의 짙은 모노톤 색감이 드리워져 사람, 나무 등의 윤곽을 표현한 특유의 선을 잘 보기 어려운 까닭이다. 애호가들은 유화의 투박한 질감과 색채에 비해 그의 드로잉들은 견실한 구도, 일상에 대한 고백 같은 느낌 등이 묻어나온다고 말한다.색을 덜어낸 박수근 드로잉의 또다른 매력과 만날 수 있는 드문 자리가 기다린다. 가나문화재단이 서울 관훈동 가나아트센터 전관에서 지난주 시작한 ‘가나아트컬렉션’ 전의 지하 전시장에는 거장의 연필드로잉 35점이 나왔다. 1982년 서울미술관에서 처음 선보인 이래 30여년만에 공개되는 작품으로 가로세로 20cm 미만의 연필소묘작들이다.그림 소재는 그의 유화들과 비슷하다. 함지박 이고 어디론가 가는 아낙네들, 시장에 가는 사람, 아이업은 여인 등 해방과 전쟁 뒤 어려웠던 시절 보통 사람들의 생활모습들을 질박하게 필선으로 옮겨낸 것들이다. 동화책의 삽화나 우화에 들어갈법한 동물 드로잉, 수렵도·민화에서 모티브를 따온 듯한 작품들도 보인다. 그와 쌍벽을 이루는 거장인 이중섭의 단골 소재였던 소를 그린 드로잉이 유난히 눈길을 붙잡는다.기운이 펄펄 넘치는 이중섭의 소와 달리 다리를 접고 웅크린 모습을 그렸지만, 소의 몸체를 표현한 단순하면서도 옹골찬 선에서 거장만의 필력과 도량이 엿보인다.이응노의 담채그림 ‘가게’ |
이응노의 담채그림 ‘서울조선호텔 뒤’ |
노형석 기자 nuge@hani.co.kr, 도판제공 가나문화재단
(*위 내용은 2015년 2월 3일자 한겨레신문에 게재된 내용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