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antcast
Channel: 베이비트리
Viewing all articles
Browse latest Browse all 4145

[스마트 상담실] 인터넷 규칙 정했지만, 중학생 아들은 막무가내

$
0
0

스마트 상담실 
청소년기 특성 이해하고 장기적 관점에서 접근해야

Q: 아들에게 인터넷 사용규칙을 정해줬지만, 정해진 시간보다 더 많이 사용하려 하고 컴퓨터를 사용하지 못하게 했더니 막무가내로 화를 냅니다. 아들이 중학생이 된 뒤에는 스마트폰을 사달라고 졸라 사줬더니 늘 친구들과 문자하고 게임과 방송만 보는 것 같습니다. 대화로 해결하려 해도 같은 모습이 반복되니 저도 지칩니다. 어떻게 하면 아들이 인터넷 사용규칙을 지키는 습관을 기를 수 있을까요?

A: 급격한 정서변화는 청소년기 발달의 한 특징이며 이는 이성과 감정 조절에 관여하는 뇌 영역의 발달 속도 차이에서 기인합니다. 청소년기에는 두뇌에서 감정, 욕망, 행동조절 등 자율신경에 관여하는 기능을 하는 변연계가 빠르게 발달합니다. 반면 대뇌 앞쪽에 있는 전두엽은 천천히 발달합니다. 전두엽은 두뇌에서 인간의 이성적 기능을 주로 수행하는데, 기억력과 사고력을 주관하고 계획 수립과 정서 조절에 관여합니다. 따라서 청소년들은 감정적으로 불안정하고 주위의 환경이나 자극에 민감하지만 스트레스나 심리적 부담감을 조절할 수 있는 능력은 부족한 것입니다. 이른바 ‘중2병’이라는 현상은 두뇌 발달에 따른 자연스런 현상이라는 게 뇌 연구자들의 설명입니다.

이 시기에 부모는 자녀의 감정을 최대한 이해하려 노력하되 행동에는 분명한 원칙을 두는 게 바람직합니다. 그리고 원칙을 만들고 지키는 과정에서 자녀들로 하여금 부모가 자신을 이해하고 있다는 것을 느끼도록 하는 게 중요합니다. 먼저 부모님은 인터넷상에서의 청소년 문화와 자녀가 좋아하는 콘텐츠 등에 관심과 이해를 표현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나아가 자녀에게 인터넷과 스마트폰이 어떤 의미인지, 사용규칙을 지키기 힘든 이유는 무엇인지, 좋아하는 게임 캐릭터가 무엇인지 등의 인터넷 관련 주제와 함께 학교생활과 교우관계, 진로 등에 대해서도 많은 대화를 나누시길 바랍니다. 이 과정에서 인터넷이 오히려 일상에서 자녀와 친밀한 관계를 가능하게 하는 공동관심사가 될 수도 있을 것입니다.

더불어 자녀 스스로에게 인터넷과 스마트폰 사용을 조절할 수 있는 힘을 키우기 위해서는 조절의 필요성과 중독의 위험성에 대한 지식을 자녀와 공유하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관련한 지식은 인터넷중독대응센터 누리집(www.iapc.or.kr)의 콘텐츠-자료실을 비롯해 언론기사, 영화, 책, 학교, 주변의 친지 등 다양한 곳에서 얻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지식을 활용해 자녀가 스스로 문제를 인식하고 자신의 감정과 행동을 조절하려는 동기를 가질 수 있도록 격려해주세요.

권미수 한국정보화진흥원 인터넷중독대응센터장
성장기인 청소년기 특성상 단시간에 부모님이 기대한 성과를 내기 힘들 수 있습니다. 자녀들이 실패와 성공 경험을 반복하는 과정에서 자녀가 사용규칙을 지키지 못한 결과보다는 자녀 스스로 노력하면서 개선되는 과정에 초점을 두고 인내하며 이끌어주시기 바랍니다.

권미수 한국정보화진흥원 인터넷중독대응센터장

인터넷 중독 상담콜센터: 1599-0075(공공치료)

Viewing all articles
Browse latest Browse all 4145

Trending Artic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