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antcast
Channel: 베이비트리
Viewing all articles
Browse latest Browse all 4145

아이들은 엄마의 기운으로, 엄마는 아이들의 기운으로 살아간다.

$
0
0

sPC224293.jpg

 

sPC224357.jpg

 

차밭에 다녀온 날, 아루는 하루종일 시무룩했다.

꽉 막힌 도로에서 차를 타고 보내는 시간이 지루해서 그런 줄 알았다. 딸기 농장에 못 가서 단단히 골이 났다고 생각했다.

기분을 풀어주려고 우스갯소리를 하고 장난도 걸어봤는데 시큰둥하기에 나도 힘이 빠졌다. 일곱 살 아이에게 뜻대로 되지 않는 상황을 묵묵히 견디라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지 알면서도 얼굴 구기고 있는 아이가 못마땅했다. 어쩔 수 없는 일에 불평하지 말자, 그러면 모두가 더 힘들어지니 얼굴 펴라고 잔소리를 했다.
돌아오는 버스 안에서, 잠든 아이가 내게로 기대었다. 잠든 얼굴을 보니 안쓰럽고 짠해져서 손바닥으로 얼굴을 쓸어내렸다. 이마에 닿는 순간, 따끈따끈한 열감이 느껴졌다. 날씨가 더워서 그런가? 내 이마를 짚어 보고, 좌린 이마도 짚어 보고, 그제서야 알았다. 열이 났구나! 머리 아프다는 말을 몇 번 했는데, 불평하는 소리로만 생각했던 것이다. 애가 아픈 줄도 모르고 빗속에 끌고 다니고 짜증 낸다고 나무라기까지 하다니! 한없이 미안하고 후회스러웠다.

 

할 수만 있다면, 여행하는 동안 아이들이 아프지 않기를 바랐다. 아이가 아프면 그 자체만으로도 마음이 괴로운데, 낯선 여행길에서 라면 더더욱 힘들어질 것이다.
살면서 내가 원치 않았던 상황으로 미끄러져 들어갈 때 나는 펑따오씨 이야기를 떠올린다. 펑따오씨는 남미를 여행할 때, 콜롬비아 보고타에서 만난 대만 사람이다. 라디오 진행자라더니 타고난 이야기꾼이었다. 마치 라디오를 켜 놓은 것처럼 입에서 재밌는 이야기들이 끊임없이 술술 흘러나왔다. 펑따오씨는 자신의 이집트 여행 이야기를 들려주었다. 버스가 고장 나 멈추고, 사막 한가운데 버려지기도 하고 황당한 일을 많이 겪었는데 그러면서 한 가지 교훈을 얻었다고 했다. 눈앞의 상황이 최악이라고 생각했는데 그다음에 더 황당하고 어이없는 일이 벌어지니까 나중에는 어떤 나쁜 일을 겪어도, ‘이것이 최악은 아닐 거야’라고 생각하게 되었다고.
나쁜 상황에서 더 나빠질 것을 생각하는 것은 두려운 일이지만, 상대적으로 지금의 상황이 낫다고 생각하면 현실에서 긍정의 가능성을 발견할 수 있다. 극단으로 치닫는 감정을 누그러뜨리고 침착하고 차분하게 문제를 들여다볼 수 있다.
체온계로 열을 재보니 39도가 조금 넘었다. 최악은 아니야, 그리 나쁘지 않아, 펑따오씨 교훈을 떠올리며 마음을 다스렸다. 다행히 다른 증상은 없었다. 서울에서 가져온 해열제가 있지만 조금 지켜보기로 했다. 한밤중에 열이 더 오를 수 있으니 그때를 대비해서. 아이가 잠들 때까지 손발을 주물러 주고 잠이 든 후에도 계속 곁에 머물렀다. 열 때문에 발그레 상기된 아이의 얼굴을 바라보고 있으려니 말레이시아에서 지낸 일들이 한 장면 한 장면, 영화처럼 머릿속에 떠올랐다.
도란도란, 낮은 목소리로 잠든 아이에게 말을 건넸다.

 

말레이시아에 와서 씩씩한 네 모습을 보고 나는 깜짝 놀랐어. 네가 어릴 때 처음 가는 낯선 놀이터에서 내 다리를 붙잡고 떨어지지 않으려 했던 것처럼 낯선 곳에 적응하려면 시간이 꽤 걸릴 거라고 생각했거든. 첫날부터 낯선 풍경, 낯선 모습의 사람들 속에서 씩씩하게 걷는 네가 참 대견했어. 타만네가라의 무시무시하게 울창한 숲, 까마득히 높이 매어 놓은 흔들다리에서는 나도 무서워 다리가 후들거렸는데 오히려 성큼성큼 앞서 가는 너를 보며 용기를 내었지. 쿠알라룸푸르에서 해람이가 집에 가고 싶다고 했을 때 너는 여행이 좋다고 했지? 새로운 것을 많이 봐서 좋다고 했던 말을 기억해. 나도 그런 이유로 여행을 좋아해. 새로운 것에 눈뜨는 것이 얼마나 멋진 일이니! 우리 모두 함께 볼 수 있으니 더더욱. 나는 우리가 느릿느릿 피곤할 정도로 걷는 가운데 조금씩 다가가고 느낄 수 있기를 바라. 빠르고 간편하게 스쳐 지나가는 것보다 힘들어도 그게 더 가치 있는 여행이라고 생각한단다. 무더운 날씨에 땀을 삐질삐질 흘리면서도, 비가 오는데도 우리 함께 가 볼까? 했을 때 ‘그래!’ 라며 따라 나서줘서 고마워. 힘들어도 크게 내색하지 않고 잘 참아 주어 고맙고. 몸이 아픈 것은 무리하지 말고 쉬라는 신호야. 생각해보니 우리가 지난 며칠 동안 쉬지 않고 너무 달려온 것 같아. 영하의 날씨에서 갑자기 삼십 도의 무더위를 경험하다가 또다시 서늘한 곳에 오니 몸이 적응 못 하는 것도 당연하지. 잘 자고 푹 쉬고 나면 금방 좋아 질거야. 열나고 아팠는데 살펴주지 못해서 미안.

아루에게 하고 싶은 말들이 마음속에서 샘 솟았다. 이야기하면서 가슴이 뭉클했고 따뜻해졌고 힘이 났다. 아이가 아파서 머리맡에 앉아 이런저런 생각을 하는 것이, 예상치 못한 힘든 상황을 함께 이겨내는 것이 유명한 관광지에서 눈도장 찍고 인증 샷을 남기는 것보다 더 소중한 경험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camerongh01.jpg

 

 

오늘은 멀리 나가지 않기로 했다. 주차장처럼 꽉 막힌 도로를 떠올리면 생각만으로도 머리가 지끈거렸다. 당연히 게스트하우스에도 손님이 많았는데 아침이 되자 하나 둘 집으로 혹은 관광지로 빠져나가고 조용해졌다. 아이들을 늦게까지 재우고 느지막히 아침 겸 점심을 먹었다. 주인이 허락해주어 부엌의 전기밥솥에 전날 산 옥수수와 고구마를 쪘다. 좌린이 밖에 나가 쌀국수도 사왔다. 
 

camerongh02.jpg

 

내 소원대로 아루는 많이 좋아졌다. 열은 남아 있었지만, 쌀국수에 옥수수를 양껏 먹었고 표정도 밝았다.
아루랑 끝말잇기, 손가락 숫자 게임을 했는데 오늘따라 내가 계속 졌다. 아루가 4를 부르며 엄지 두 개를 치켜들면 나도 따라 두 개를 다 올리고, 2하고 부르면서 저는 손가락을 하나도 안 드는데 나 혼자 두 개 다 들어서 지기도 했다. 하하하, 엄마는 내 말을 너무 잘 듣는 것 같아. 내가 말만 하면 그대로 되잖아! 아이가 활짝 웃는 모습을 보니 내 마음도 얼마나 밝아지는지. 까짓것, 게임에서 지는 것쯤이야...

 

sBC231867.jpg

 

아빠는 아기 나무야! 아기가 주렁주렁 열렸네.
게스트하우스 벽에 붙어 있는 지도를 보다가 가까운 산책로를 걸어보기로 했다.
아직 열이 있는데, 괜찮을까?
차 타고 멀리 가는 것도 아닌데 뭐. 힘들다고 하면 내가 업어줄게.
아프다고 누워만 있는 것보다 가볍게 몸을 움직이는 게 좋을 것도 같다. 숲에 가면 공기가 좋으니 머리가 맑아질 수도 있고.

 

sBC231875.jpg

 

애 둘을 안고 무단 횡단. 신호등이 거의 없다. 있어도 별로 의미가 없다. 늘 무단 횡단을 해야 하는데 차 방향이 우리랑 반대인데다가 차들이 보행자를 별로 신경 쓰지 않기 때문에 길 건너기가 무섭다.

 

sBC231888.jpg

 

버스 터미널 뒤에서 놀이터를 발견했다.
카메론 특산물들 모형. 머리 아프다던 아이가 신발 벗어 던지고 오르기 시작. 걱정하지 않아도 되겠구나.

 

sBC231920.jpg

 

누나 따라 양배추 산에 오른 해람. 올라가긴 했는데 어떻게 내려가지?

 

sPC234547.jpg

 

드디어 숲 속으로 들어왔다. 산책로가 잘 되어 있어서 걷기 쉽다. 큰길에서 조금만 벗어나도 이렇게 울창하다. 

 

sBC232047.jpg

 

또 비가 내리기 시작했다. 막 쏟아지지는 않고 보슬보슬 조금씩 계속. 비라기보다 그냥 물안개 속에 있는 것 같았다. 이곳의 숲을 mossy forest 라고 소개하는 이유를, 숲에 이끼가 많은 이유를 알 수 있었다.
카펫을 깔아 놓은 것처럼 바위를 뒤덮은 이끼...폭신폭신하다.

 

sBC231958.jpg


오늘은 비 맞으며 걸으라고 하지 않을게. 약속대로 머리 아플 때마다 좌린은 계속 아기 나무

 

sBC232032.jpg

 

로빈슨 폭포. 폭포 자체는 별로 멋이 없다.

 

sBC232072.jpg

 

엄마, 딸기가 먹고 싶어. 딸기 먹으면 머리 아픈 게 나을 것 같아.
산책로 입구로 돌아왔을 때 아루가 다시 딸기 노래를 부르기 시작했다.
서울 가면 얼마든지 먹을 수 있는데, 굳이 여기서 비싼 돈 내고 먹어야겠니? 라는 말이 목구멍까지 올라왔으나 아픈 아이 소원이니 들어주기로.
그래, 그래도 먹자! 딸기 먹자!

 

sBC232102.jpg

 

역시나 해람이는 초콜릿 바른 딸기 꼬치를 고르고...
순식간에 해치워서 사진을 제대로 찍을 수도 없었다.

 

sBC232148.jpg

 

실속파 아루는 딸기를 한 팩 골랐다.
아프다고 징징대더니 금세 웃고 계심.

 

sBC232152.jpg

 

누나가 머리가 아파쪄 딸기 먹고 고쳐야 돼.
(해람이가 두 돌 지나 말문이 막 터졌을 때 한창 하던 이야기를 각색한 것이다. 원래 해람이 이야기는 ‘차가 쿵해쪄, 그래서 견인차가 왔쪄. 포도 먹고 딸기 먹고 고쳐야 돼.’-차가 부딪쳐서 사고가 나서 견인차가 끌고 갔어. 사람이 아플 때 약 먹고 낫는 것처럼 포도, 딸기 먹으면 낫는다는.)
딸기 약효가 50미터는 되었을까.

 

sPC234675.jpg

 

길바닥에 떨어진 깨진 아크릴 광고판을 발견하여 글자 맞추기를 한다.

 

sPC234673.jpg

 

정답은?

 

sBC232239.jpg

 

엄마, 이거 봐! 뱀 같지?

 

 

아이가 아프면
“아이들은 엄마의 기운으로 살아간다.” 는 조산원 원장님의 말씀을 떠올리게 된다. 아이가 아프면 덩달아 지치고 힘들어지는데 이 말을 떠올리면서 기운을 차린다. 내 기운으로 살아가는 아이들을 생각하면서 지쳐 쓰러질 것 같아도 힘을 내고 내가 가졌던 용기보다 더 큰 용기를 낼 수 있었다.
아이들과 여행하면서 엄마 또한 아이들의 기운으로 살아감을 깨닫는다. 아픈데도 잘 견디고 잘 노는 아이가 내게 얼마나 큰 위로가 되는지. 그리고 이렇게 반짝반짝 빛나는 아이들이 내 곁에 있으니 마음속에 밝은 기운이 마구 샘 솟는다.

 

sBC232326.jpg

 

sBC232344.jpg

 

아루의 이 하나가 흔들흔들, 빠지기 직전이다.

 

애들 아프다고 애달플 거 없다. 애들이 아픈 건, 크느라고 그런 거다.
엄마 말씀이 귓가에 울리는 듯 하다.

 

 

사족

카메런 하일랜드의 딸기 맛은

한 마디로 그저그랬다.

조그맣고 달지 않았다. 요즘 우리가 먹는 딸기에 비교하면 초라하고 맹물 같지만 옛날, 어려서 먹던 노지 딸기의 맛이었다. 옛 기억이 떠올라 반가웠고, 품종 개량으로 크고 달게 만든 하우스 딸기보다 자연스럽고 건강하게 느껴졌다.

 


Viewing all articles
Browse latest Browse all 4145

Trending Artic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