깨진 곡류에 곰팡이 잘 생겨
아플라톡신은 열에도 파괴 안돼
덥고 습한 날씨가 계속 되면서 쌀, 옥수수, 땅콩 등에 곰팡이 독소가 발생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24일 쌀 등 곡류나 콩류, 견과류 등에 곰팡이가 번식하면 아플라톡신, 파튤린, 푸모니신 등과 같은 곰팡이 독소가 생길 수 있는데, 이를 많이 섭취하면 암 등 치명적인 질환에 걸릴 수 있다며 주의를 당부했다. 특히 아플라톡신은 암을 일으킬 수 있는 물질로 일반적인 가열 및 조리 과정에서 파괴되지 않는 특징이 있다. 즉 곰팡이가 생기는 것 자체를 막는 것이 중요하다.
식약처는 쌀이나 콩 등은 알갱이가 손상되면 내부의 수분 균형이 깨지면서 곰팡이가 자라기 좋은 조건이 되기 때문에 깨진 알갱이는 제거하도록 조언했다. 곰팡이가 자라지 않도록 하려면 습도는 60% 이하, 온도는 10∼15도 이하에서 보관하는 것이 좋다. 또 땅콩과 아몬드 같은 견과류는 개봉한 뒤에 보관할 때에는 밀봉해 공기와 접촉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식약처 관계자는 “쌀을 씻을 때 파란색 또는 검은색 물이 나오면 곰팡이 오염을 의심해 봐야 한다”며 “곰팡이 독소는 열에도 파괴되지 않기 때문에 일단 곰팡이가 생겼거나 식품 고유의 색깔 또는 냄새가 변한 식품은 섭취하지 말아야 한다”고 말했다.
김양중 기자 himtrai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