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antcast
Channel: 베이비트리
Viewing all articles
Browse latest Browse all 4145

생각만큼 다르게 들리는 소리의 재발견

$
0
0
이안의동시사용설명서.jpg» kimyh@hani.co.kr나무의 맛
 
곽해룡
 
매미가 
나무둥치를 빨며
매움 매움
쓰디쓰 쓰디쓰
시어시 시어시
 
오목눈이가
나무를 비켜 가며
비리비리 비리비리
 
<맛의 거리>(문학동네·2008)
 
검은등뻐꾸기는 네 음절로 운다. 그 소리가 마치 ‘홀딱벗고’ ‘홀딱벗고’ 하는 것처럼 들린대서 ‘홀딱벗고새’라고도 한다. 스님들 귀에는 ‘홀딱벗고’가 아니라 ‘빡빡깎고’로 들린다는 우스갯소리도 있다. ‘지집죽구 지집죽구’로 받아 적은 이는 소설가 이문구 선생이다.(‘들비둘기 소리’) 같은 소리라도 듣는 사람의 처지에 따라 다르게 들린다. 전봇대 위에서 ‘구구 구구’ 우는 비둘기 소리를 ‘꾸욱 꾸욱’으로 듣는 사람은 비둘기가 전봇대의 뭉친 근육을 풀어주느라 애쓴다고 생각하는 사람이며, ‘9×9 9×9’로 듣는 사람은 비둘기가 구구단 답을 몰라 저렇게밖에 못 운다면서 ‘팔십일!’ 하고, 답을 알려준다.(김철순, ‘산비둘기’)

<나무의 맛>은 매미 소리를 “매움 매움/ 쓰디쓰 쓰디쓰/ 시어시 시어시”로, 오목눈이 소리를 “비리비리 비리비리”로 받아 적었다. 나무의 맛이 맵고, 쓰고, 시고, 비리다고 듣는 사람은 일찌감치 인생의 매운맛, 쓴맛, 신맛, 비린 맛을 고루 맛보았을 터이다. 그러니 이 시에서 말하는 맛은 겉에 드러난 나무의 맛이 아니라 신산고초한 인생의 맛, 그것이겠다.

참새는 정말 ‘짹짹’ 울까. 개구리는 정말 ‘개굴개굴’ 울까. 아이랑 함께 똑같은 소리에 귀 기울인 다음 그것을 글자로 적어 보자. 얼마나 다른지 비교해 보자. 참새인 것을 모를 때, 참새 소리를 더 정확히 들을 수 있다. 참새인 것을 알면 선입견의 참견을 받아 ‘짹짹’ 정도로밖에 들리지 않는다. 아이와 함께 빛이 없는 곳, 소음이 적은 곳으로 가 풀벌레 소리, 새소리, 바람 소리에 귀 기울여 보자. 멀리 가지 않아도 좋다. 변기 물 내려가는 소리, 밥 되는 소리, 설거지 소리, 세탁기 돌아가는 소리, 트림 소리, 방귀 소리, 이 닦는 소리 같은 일상의 소리를 새롭게 발견해 보자.
 

안도현 시인은 풀벌레 소리를 이렇게 받아 적었다.

 

풀벌레 소리

 

안도현

 

풀벌레 소리는

말줄임표

……

 

장독대 옆에서도

풀숲에서도

……

 

밤새도록

숨어서

……

 

재잘재잘

쫑알쫑알

……


나무 잎사귀 뒤쪽 마을(실천문학사 2007)

 

귀뜰귀뜰이나 찌릿찌릿이 아니라 ……로 나타내어 정확히 받아 적기 어려운 풀벌레 소리를 오히려 재치 있게 포착했다. 어떤 말보다 풍성하고 다양한 소리가 ……에는 담겨 있다. 한하운 시인은 개구리 소리를 가갸 거겨/ 고교 구규/ 그기 가// 라랴 러려/ 로료 루류/ 르리라”(‘개구리’)로 나타냈고, 장철문 시인은 겱겱겱겱 갥갥갥갥 괅괅괅괅”(‘개구리 학교’)으로 받아 적었다. 뱁새들이 뭐라고 재재거리는지 조금이라도 더 잘 들으려고 바람아, 가만 있어 봐”(장철문), 간절히 청하는 이가 시인이다.


권정생 선생은 꾀꼬리 소리를 동 달아매용으로 받아 적었는데, 선생이 사셨던 경북 안동 지역에서는 꾀꼬리를 달아매용새라고 한다고 하니 지역마다 사람마다 다른 귀를 지녔음일까. 종달새 소리를 지리지리 지리리로 받아 적은 이는 충북 옥천 사람 정지용이다.(‘종달새’) 매미 소리도 마찬가지다. 첫 매미가 울기에 언제 나왔느냐고 물었더니, “이이이틀 이이이틀대답하는 게 아닌가. 다음날 다시 물었을 때는 사아아흘 사아아흘이렇게 대답하여 슬며시 웃은 적이 있다. 같은 사람이 같은 걸 들어도 어제 들은 소리와 오늘 듣는 소리가 같지 않으니 날마다 새롭다란 말이 여기에 꼭 들어맞는다.


곽해룡 시인은 네 권의 동시집을 냈다. 첫 동시집맛의 거리는 나온 지 10년이 지난 지금 읽어도 새롭게 읽히는 지점이 간직되어 있다. 동시 공부 텍스트로 삼을 만한 책이다. 네 번째 동시집 축구공 속에는 호랑이가 산다(문학동네 2015)에서 한 편 소개한다. 3연의 해석이 공감을 불러일으킨다.

 

전학


곽해룡

 

이사를 마치고

엄마도 나도 몸져누웠다

 

엄마는

혼자 집을 다 옮겨서 아프다지만

한 일도 없는 나는 왜 아플까

 

맞다,

우리 집보다 더 큰 학교를

나 혼자 다 옮겼으니

엄마보다 내가 더 아픈 거야 

 

이안 시인,동시마중편집위원 aninun@hanmail.net

 
 

Viewing all articles
Browse latest Browse all 4145

Trending Artic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