잠도 잘 자고 놀기 잘 하는
잠귀신 노리의 강남 ‘출타기’
잠 못자는 사람 다 모여라
한밤중에 강남귀신
김지연 글·그림/모래알·1만3000원
역시 이 기록적인 더위에는 귀신이 반갑다. 빌딩 숲의 열기가 이글대는 서울 강남에 귀신이 나타났다니, 기왕 온 거 오싹한 냉기라도 뿜어주면 고맙겠다. 그나저나, 이승과 저승을 넘나들며 재미난 이야기보따리를 꿰차고 다니는 귀신이 어인 일로 불빛 현란한 강남까지 납셨을까?
<한밤중에 강남귀신>은 밤이 깊어도 잠을 잘 수 없는 인간들을 위해 귀신들이 해결사로 나선다는 재미난 발상의 그림책이다. 학습 과잉의 나라, 일 중독의 나라에 사는 사람들의 버거운 일상을 해학적인 귀신 이야기로 풀어냈다. 열대야를 식혀줄 으스스한 귀신을 기대했다면 실망이겠다. 강남귀신은 “한번 놀면 밤이 새도록 놀고 한번 자면 한 오백년 자는 잠귀신”이다. 잠도 잘 자고 놀기도 잘하는, 요즘 어린이들이 잃어버린 미덕을 갖춘 귀신이다. 잠을 잘 자서인지 성격도 곱고 때깔도 좋다.
잠귀신 노리가 한숨 푹 자고 일어나 강남쪽에 와보니, 500년 전 배추밭이 빌딩 숲으로 변했다. 그저 한숨 잤을 뿐인데, 조선 산골짝에서 대한민국 사교육 1번지로 건너온 잠귀신 노리에게 펼쳐지는 건 이상한 일투성이다. 가장 놀라운 건 사람들이 밤에 잠을 안 잔다는 것. 사람들은 낮에 놀고 귀신들은 밤에 놀아야 하는데, “사람들이 밤에 잠을 안 자니 귀신이 곡할 노릇”이다.
강남이 어떤 곳인가? 영어, 수학은 물론 대입으로 귀결되는 모든 종류의 학원과 경쟁사회의 정점을 찍는 최첨단 사무실이 즐비한 곳. 아이들이나 직장인들이나 횡단보도 앞에 서 있는 모습은 지쳐 쓰러지기 직전이다. 퀭한 눈을 하고 어깨를 축 늘어뜨리고 학원 ‘뺑뺑이’를 도는 아이들의 모습이 흐느적거린다.
같이 놀 친구를 찾아 헤매던 노리가 발견한 자미도 인간인지 귀신인지 모를 몰골이다. 학원 숙제하느라 자정이 되도록 잠을 못 잤는지 걸으면서 졸고 있다. “얘, 나랑 밤새 놀래?” 잠귀신 노리의 솔깃한 제안을 따라 강을 건너 귀신의 세계로 들어간 자미를 각시귀신, 몽달귀신, 아기귀신, 억울귀신이 반겨준다.
실컷 놀지 못하고 푹 단잠도 자지 못하는 자미를 귀신들은 진심으로 걱정한다. “인간들은 일도 공부도 너무 많이 한다”면서 자미가 밤에는 잠을 잘 수 있는 방법을 궁리한다. 지은이는 이 대목에서 사람들을 보듬고 공감할 줄 아는 귀신들 또한 미완성의 삶을 마감한 약자란 사실을 깨닫게 한다.
책은 귀신은 판화로 표현하고 강남의 현실은 수채화로 그려 전통미와 현대미를 조화시켰다. 한국적 정서가 깃든 판화작업을 그림책에 이식해온 김지연 작가는 “에지가 강한 판화로 귀신의 센 이미지를 살리고 회화로 자장가의 따스함을 살리고자 했다”고 설명했다. 5살 이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