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antcast
Channel: 베이비트리
Viewing all articles
Browse latest Browse all 4145

콧물이 안 낫는 이유, 왜 그럴까요?

$
0
0

겨울 내내 콧물을 훌쩍이는 아이들이 많습니다.
아이들은 왜 이렇게 콧물이 안 낫고 오래 날까요?


건강한 면역력을 키우는 기초지식 #11
열한번째 시간에는 콧물에 대해 알아봅니다.

baby-1181335_960_720.jpg» 사진 픽사베이.


맑은 콧물 > 노란 콧물 > 맑은 콧물 


아이의 콧물을 관리할 때 이 내용을 꼭 기억해두세요. 제가 강연을 하고 글을 쓸 때마다 가장 먼저 강조하는 기초 지식입니다.


코감기 1단계 : 1~3일 - 처음에는 맑은 콧물을 훌쩍입니다

코감기 2단계 : 4~6일 - 콧물이 점점 많아지고 노랗게 변합니다. 진득해져 풀기 어렵고 코막힘이 생기기도 합니다

코감기 3단계 : 7~14일 - 1주일이 지나면 콧물이 점차 맑아지고 줄어듭니다. 콧물이 시작하고 2주쯤 되면 깨끗이 낫습니다.


이렇게 아이의 감기는 평균 2주입니다. 어른은 1주일이면 낫지만, 아이는 1주일째 여전히 심합니다. 아직 면역력이 약하기 때문이죠. 그래서 여유를 가지고 관리해야 합니다. 1주일 째 콧물이 나도 왜 이렇게 안 낫지?’가 아니라아직 콧물이 날 수 있는 시기이네라고 생각해 보세요. 코감기가 진행하는 흐름을 파악하면 아이의 콧물을 좀 더 영리하게 관리할 수 있습니다. 


약간의 콧물은 괜찮아요 


감기철이 되면 콧물이 조금 맺혀 있거나 종종 훌쩍이는 아이들이 많습니다. 비염이 아닌지 걱정되기도 하는데요. 사실 콧물 안에는 면역 물질이 들어있습니다. 아프지 않은 평상시에도 콧물은 코 안을 촉촉하게 만들어 우리 몸을 지키죠. 감기에 걸리거나 환절기, 추운 겨울이 되면, 콧물의 면역 작용이 더 필요해 많아집니다. 그래서 콧물이 조금 맺히고 훌쩍훌쩍합니다.   


아이는 어른처럼 콧물을 깨끗이 풀고 닦지 못해 더 지저분해 보입니다. 이런 모습이 부모 마음을 더 걱정되게 하죠. 하지만 아이가 불편하지 않고 잘 놀고 컨디션이 좋다면 괜찮습니다. 콧물의 면역 작용이 잘 작용하는 모습이거든요. 약간의 콧물은 한번씩 닦고 풀어주면 됩니다.

 

가만히 두면 심해지지 않을까요? 


물론 심해질 수도 있습니다. 코감기는 3~6일째까지 심해진다고 했죠? 그런데 미리 감기약을 복용해도 심해지는 경과를 막을 수는 없습니다. 의학적으로 명확히 밝혀진 사실이고, 현재 의학의 한계이기도 합니다. 그래서 가벼운 콧물에서 미리 감기약을 복용할 필요는 없습니다.

감기약은 콧물이 심해서 아이가 힘들면 사용하세요. 감기약은 코 증상을 조금 줄여주는 역할을 합니다. 지난 시간에 살펴본 해열제 사용과 비슷하죠? 심한 코 증상은 3~4일 정도 지나면 차츰 줄어듭니다.


[기초지식 #9 아이가 열이 나요, 어떻게 하나요?]

 모던한의사15.jpg

노란 콧물은 축농증 아닌가요? 


콧물이 노래지면 혹시 축농증이 아닌지 걱정됩니다. 노란 콧물은 일반적인 코감기의 자연스러운 증상입니다. 코감기 2단계에서 콧물은 노랗게 변할 수 있습니다. 콧물 안에 면역 물질이 많아져 농도가 짙어지기 때문이죠. 노란 콧물은 3~4일 정도면 차츰 맑게 변하면서 좋아집니다.  


실제로 코감기에서 세균성 축농증이 합병증으로 생기는 경우는 10% 미만입니다. 생각보다 적죠? 대부분이 바이러스가 원인인 일반적인 코감기입니다. 그래서 노란 콧물만으로 축농증을 의심하고 항생제를 처방하지 않습니다. 만약 노란 콧물에서 매번 항생제를 복용하는 편이라면, 항생제를 적게 처방하는 다른 병원에서 진찰을 받아보세요. 한방소아과에서 감기 한약으로도 관리할 수 있습니다.


한 달째 콧물이 낫지 않아요


단체 생활을 이제 막 시작한 아이는 콧물이 한 달 이상 지속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감기가 겹쳐서 진행하기 때문인데요. 면역력이 약해서 이전 감기가 깨끗이 낫기 전에 새로운 감기에 걸릴 수 있습니다. 감기의 진행을 분석하면 분명 심해지고 좋아지는 기복이 나타납니다.



5-15.jpg


감기 진행을 이렇게 분리해 관리해보세요. 감기가 한 달 째 낫지 않는다고 생각하면 불필요한 약의 복용이 많아집니다. 감기를 분리해서 보면, 심한 증상에서는 감기약을 복용하고 가벼운 증상에서는 감기약 사용을 줄일 수 있습니다.   


코를 풀어도 꽉 막혀 안 나와요.


코를 흡흡거리고 답답한데 풀어도 콧물이 나오지 않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콧물이 끈적해지거나 뒤로 넘어가서 안 나온다고 생각하기도 하죠. 실제로는 코의 점막이 부어서 숨길이 좁아진 모습이고 콧물이 가득 차 있지는 않습니다. 그래서 코세척을 해도 콧물이 많이 나오지 않고 여전히 답답하죠. 코막힘은 다음 시간에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콧물이 심할 때 4가지 관리 팁]


1. 가습을 하자
건조한 실내 공기는 코를 더 불편하게 합니다. 실내 습도는 50~60% 정도로 유지해주세요. 꼭 가습기가 아니라 젖은 수건이나 빨래, 식물을 활용해도 됩니다.


2. 마스크를 쓰자
외출을 하면 꼭 마스크를 사용해주세요. 콧물이 나는 이유는 차가운 공기와 병균으로부터 우리 몸을 보호하기 위해서입니다. 마스크로 코 부위를 보호하면 몸 안으로 따뜻하고 촉촉한 공기가 들어옵니다.      


3. 박하차를 마시자
콧물이 나면 물을 충분히 마셔야 합니다. 물은 진득한 콧물을 묽게 만들고, 민감한 코 점막을 진정시킵니다. 여기에 한 가지 더, 박하를 연하게 우려 차처럼 마셔 보세요. 박하는 한의학에서 콧물 치료에 많이 사용하는 한약재입니다. 코 면역력을 더하고 답답한 코를 시원하게 하는 효과가 좋습니다.


박하차.jpg


4. 혈자리를 자극하자
코 양 옆에는 콧물 치료에 많이 사용하는 영향혈이 있습니다. 아래 사진의 혈자리를 꾹꾹 눌러주세요. 지압하는 것만으로도 코가 시원해지는 느낌이 들 수 있습니다.


경혈 - 영향.jpg

[사진출처 : 한의학융합연구정보센터 표준경혈] 


다음 시간에는 코막힘에 대해 알아봅니다


Viewing all articles
Browse latest Browse all 4145

Trending Artic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