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의 놀이터.jpg 세계의 놀이터.jpg](http://babytree.hani.co.kr/files/attach/images/72/738/167/%EC%84%B8%EA%B3%84%EC%9D%98%20%EB%86%80%EC%9D%B4%ED%84%B0.jpg)
“한국의 놀이터는 너무 천편일률적이에요. 놀이기구가 온통 플라스틱으로 돼 있어요. 디자인도 거의 동일하더군요. 아이들에게 이런 놀이터가 매력적일까요? 놀이터에 왜 폐회로텔레비전(CCTV)이 있는거죠? 왜 부모도, 아파트 경비원도, 시시티브이도 아이들이 노는 것을 감시하는 거죠?”
세계 놀이터 곳곳을 돌아다녔다는 독일의 유명한 놀이터 디자이너 귄터 벨치히(73·왼쪽 사진)가 한국의 놀이터를 둘러본 뒤 내놓은 의견이다. 지난달 23일 서울시 사회적경제지원센터·마을공동체종합지원센터 등이 공동 주최한 특별 강연회에서 그를 만났다. 시종일관 유머 넘치는 강연을 펼친 그는 아이들과 눈높이를 맞출 줄 아는 정감 넘치는 할아버지였다.
벨치히는 이날 강연에서 세계의 다양한 놀이터(사진)를 보여주며 좋은 놀이터라면 어떤 조건들을 갖춰야 하는지에 대해 설명했다. 그가 보여준 좋은 놀이터는 재료부터 디자인과 공간 배치까지 그야말로 다채로웠다. 지역에서 흔히 구할 수 있는 돌과 나무를 이용해 만든 놀이성, 나무 사이에 큰 다리를 놓아 만든 놀이터, 다양한 색깔의 빛이 비추는 미로처럼 생긴 동굴 놀이터, 고대 로마시대의 유적지처럼 생긴 놀이터, 과학기술 등을 활용한 놀이터 등 한국에선 볼 수 없는 다양한 형태의 놀이터를 소개했다. 청중은 내내 신기하다는 듯 사진들을 둘러보았다. 왜 그가 한국의 놀이터가 천편일률적이라고 말하는지 바로 알 수 있었다.
![세계의 놀이터2.jpg 세계의 놀이터2.jpg](http://babytree.hani.co.kr/files/attach/images/72/738/167/%EC%84%B8%EA%B3%84%EC%9D%98%20%EB%86%80%EC%9D%B4%ED%84%B02.jpg)
벨치히는 “놀이터는 서로 비슷해도 디자인이라도 조금씩 달라야 한다. 재료도 나무, 고무, 콘크리트, 돌 등 놀이의 특성을 고려해야 한다. 그래야 아이들에게 행복감을 주고 더 머무르고 싶은 느낌을 주고, 뭔가 아이들이 발견할 가능성을 줄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많은 어른들이 ‘로맨틱한 놀이기구’가 있어야만 아이들이 잘 놀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 또한 잘못된 견해라고 지적했다. 오히려 아이들은 놀이기구가 없어도 언제 어디서나 잘 놀 수 있다는 것이다. 정작 놀이를 방해하는 사람은 부모를 포함한 어른들이다. “조심해” “그렇게 하지 마” “위험해” “올라가지 마” “이렇게 딛고 내려가” 등 사사건건 어른들의 간섭과 지시가 아이들의 놀이를 방해하는 요인이 되고 있다.
“좋은 놀이터는 어느 정도 위험을 허용해야 해요. 통제와 인식이 가능한, 조정할 수 있는 위험을 제공해야 합니다. 그리고 아이들은 이 놀이터에서 자신이 결정권을 가져야 하죠.”
양선아 기자, 사진 귄터 벨치히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