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antcast
Channel: 베이비트리
Viewing all articles
Browse latest Browse all 4145

복지지출, OECD 꼴찌인데…교육복지 되레 뒷걸음 위기

$
0
0
한국 GDP 중 복지비중 9.3%
OECD 평균 22%로 2배 넘어
아동복지예산은 1/3 ‘초라’

한국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가운데 복지에 재정을 가장 적게 쓰는 나라다. 그런데도 누리과정(만 3~5살 아동 보육비 지원)과 무상급식을 위한 재원의 부족이 과도한 복지정책 탓이라는 등 엉뚱한 주장이 번지고 있다.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는 “‘무상복지’ 재조정이 필요하다”고 말했고, “무상급식 예산을 중단하겠다”고 선언한 홍준표 경남도지사는‘무상파티’를 그만두라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141536622756_20141108.JPG 국회입법조사처가 지난 9월 발간한 ‘국민부담률과 공공사회복지지출 현황’을 보면, 2012년 우리나라의 국민부담률(경상 GDP에서 조세와 사회보험이 차지하는 비중)은 26.8%로 조사대상 오이시디 20개 회원국 평균인 34.1%를 크게 밑도는 최하위다. 조세 및 사회보험료 부담액 가운데서 공공사회복지지출에 쓰는 돈의 비중은 34.7%에 불과해, 오이시디 회원국 평균인 63.9%의 절반에 그친다.

국민부담률이 낮은데다, 조세와 사회보험료 가운데 복지에 쓰이는 돈의 비중은 더 낮은 까닭에, 연간 국내총생산(GDP)에서 복지 지출이 차지하는 비중을 보면 한국은 9.3%로 초라할 정도다. 오이시디 회원국 평균은 한국의 갑절인 21.8%이고, 일본 22.3% 등 선진국은 대부분 20%를 넘는다. 무상의료·무상급식·무상교육·무상보육 등 최고의 복지국가로 꼽히는 스웨덴의 경우 국민부담률(44.3%)도 높고 복지정책(63.5%)에도 국가재정을 많이 사용하는 대표적인 ‘고부담-고복지’ 국가로 국내총생산의 28.1%를 복지 지출에 쓴다. 반면 우리나라는 여전히 세금을 적게 걷는 대신, 복지정책에 극도로 인색한 ‘저부담-저복지’ 정책을 펴고 있는 상황이다.

무상보육·무상급식 등 이번에 쟁점이 되고 있는 아동복지에 대한 예산도 우리나라는 형편없는 수준이다. 국책연구기관인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서 나온 ‘오이시디 국가와 한국의 아동가족복지지출 비교’ 보고서(2013년)를 보면, 오이시디 34개 회원국 중 32위에 머물렀다. 우리나라의 아동복지예산은 국내총생산(GDP) 대비 0.8%로 오이시디 평균인 2.3%의 3분의 1 수준이다.

아동수당이 없는 나라는 오이시디 국가 중 한국, 터키, 멕시코, 미국 등 4곳 뿐이다. 이에 따라 사람들이 출산을 기피해, 2013년 우리나라 합계출산율은 초저출산 수준이라 할 수 있는 1.19명으로 오이시디 국가 가운데 가장 낮다.

복지수준이 낮다는 것은 또 다른 수치로도 확인이 가능하다. 가계 가처분 소득에서‘사회 임금’이 차지하는 비중은 한국이 12.9%로 오이시디 회원국 가운데 최하위다. 사회임금은 개인에게 제공되는 복지 혜택을 모두 돈으로 환산해 더한 수치로, 선진국에서는 가계소득의 중요한 한 축을 담당하고 있다. 사회임금이 낮다는 것은 개인이 삶을 꾸려 나가는 데 정부 지원이 매우 취약하다는 의미다.

빈약한 복지정책으로 사회적 부작용은 심각하다. 우리나라 65살 이상 노인들의 빈곤율은 48.6%로 오이시디 평균(12.4%) 보다 세 배 이상 많으며, 부동의 1위를 지키고 있다. 우리나라의 고령화 속도는 오이시디 국가 중 두 번째로 빨라, 다양한 복지정책이 뒷받침을 해주지 않으면 노인빈곤은 확대될 수밖에 없다. 고령화가 가장 심각한 일본의 노인빈곤율은 19.4%다.

이만우 국회입법조사처 보건복지여성팀 팀장는 “복지 확대를 위해 직접적인 증세, 비과세·감면 축소, 사회보험료 인상 등의 방안을 고민해야 한다”며 “아울러 우리 사회가 어떤 복지모델로 갈지에 대한 사회적 논의도 꼭 필요하다”고 말했다.

세종/김소연 기자 dandy@hani.co.kr

(*한겨레 신문 2014년 11월 8일자)



Viewing all articles
Browse latest Browse all 4145

Trending Artic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