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의료 서비스 강화를 내걸고 시립의료원을 추진중인 경기도 성남시가 공공산후조리원을 세우기로 해 관심을 끌고 있다.성남시는 임신부의 출산 전 건강검진비와 산후조리비 등을 지원하기 위해 ‘공공산후조리원의 설치·운영 및 산모 지원에 관한 조례안’을 지난달 30일부터 오는 23일까지 입법예고하고 주민 의견을 듣고 있다고 16일 밝혔다.조례안은 시장이 산모와 신생아의 산후조리와 요양, 건강관리 서비스, 산모에 대한 교육프로그램 운영 등의 업무를 위해 공공산후조리원을 설치하거나 위탁운영하도록 했다. 특히 이런 조례에 따라 세워진 공공산후조리원은 전액 무료로 이용할 수 있도록 했다. 이용 대상은 신청일 현재 성남시에 주민등록이 돼 있는 사람은 물론 거주 외국인도 포함된다. 국민기초생활수급자나 차상위계층, 장애인, 다문화가족 등 취약계층은 우선 이용할 수 있도록 했다. 공공산후조리원을 이용하지 못하는 대상 산모에게는 민간산후조리원 이용료 일부를 지원할 수 있는 방안도 포함됐다.이밖에 조례안은 출산 전까지 임신부 1명당 30만원 이내에서 산전 건강검진비도 지원할 수 있도록 했다. 이번 조례안은 다음달 19~24일 시의회에서 심의될 예정이다.성남시는 현재 수정·중원·분당 등 3개 구에 각 1곳의 공공산후조리원을 짓거나 위탁할 계획을 세우고 있다. 조례안이 통과되면 부지 물색 등 사업을 구체화할 계획이다. 성남시 관계자는 “경제적 부담으로 말미암은 출산 기피 현상을 극복하고 출산을 장려하기 위해 조례를 추진하게 됐다”고 말했다.한편, 성남시는 2003년 수정·중원구 등 본 시가지 주민 55만명이 주로 이용하던 종합병원 두 곳이 잇따라 문을 닫자 수정구 태평동 옛 시청사 터 2만4829㎡에 23개 진료과, 47개 진료실, 517병상을 갖춘 시립의료원을 짓기로 하고 지난해 11월14일 기공식을 했다.김기성 기자 player009@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