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찰 TV프로그램 범람…가상인물 통해 본 폐해
이른바 ‘관찰예능’ 프로그램이 봇물처럼 쏟아지고 있다. 태아 때부터 영유아, 10대, 20대를 거쳐 노년의 생활에 이르기까지 인생의 모든 시간대가 텔레비전을 통해 중계되고 있는 셈이다. 노출이 직업인 연예인 자신이야 그렇다 치더라도, 아직 자아 형성이 되지 않은 영유아 등의 경우 자아 형성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고, 일부 인권 침해 소지도 있다고 한다. 관찰당하는 여러 출연자를 한 사람의 시선으로 그려봤다.내가 엄마 뱃속에 있을때부터 집안 곳곳에 CCTV가 설치됐고출산마저 예능소재로 쓰였다
목욕을 할때도 ‘응가’를 할때도 카메라 렌즈는 늘 쫓아다녔다TV로 늘 날 지켜본 사람들은 칭찬 혹은 비난을 쏟아냈고
사춘기엔 인터넷이 무서워졌다
하지만 해가 갈수록 무뎌진 걸까? 결혼한뒤 아이와 집을 공개했다할머니가 돼선 벗어날줄 알았는데 이번엔 사위와 함께 카메라 앞에
이쯤되면 평생을 감시당한 셈이다
외국선 죽음 관찰 사례도 있던데 혹시 내가 그리되지나 않을는지…■ 0살내가 아직 엄마 뱃속에서 세상으로 나가기 전이었다. 집안 곳곳에는 폐회로텔레비전(CCTV) 카메라가 설치됐고, 굴사남, 홍지민 등 출산을 앞둔 엄마들의 일상을 24시간 쫓았다. ‘태교 예능’이라면서 엄마의 모습을 담는 프로그램이었지만, 나는 태아 시절부터 텔레비전에 출연한 셈이다. 심지어 태어나는 과정까지 나는 예능의 ‘소재’였다. 방송사는 “굴사남의 출산 현장을 공개한다”고 홍보했고, 호기심의 대상이 됐다.(<엄마의 탄생>, 한국방송1)미국의 정신과 의사 토머스 버니는 <태아는 알고 있다>는 책에서 “태아는 6개월부터 엄마의 사고와 감정을 느낀다”고 했다. 카메라가 찍는다는 것을 인지하지 못하더라도, 관찰당하는 엄마의 행동과 감정의 변화는 나에게 고스란히 전달된다는 얘기다. ‘재미를 위한 설정’도 스트레스가 됐다. 할머니(굴사남의 시어머니)는 뱃속의 내가 아들이라는 소리에 대놓고 싫은 내색을 했다. 진짜인지 설정인지 모르지만, 나는 어렴풋이 이를 느낄 수 있었다. 2007년 미국 과학잡지 <네이처 뉴로사이언스>에 발표된 연구결과는 “태아의 성격과 인지능력은 유전보다는 태내 및 출생 직후의 환경에 큰 영향을 받을 수 있다”고 했다.■ 1~7살태어난 뒤에도 이런 상황은 이어졌다. 백일부터 보행기를 타는 갓난아이 시절 <엄마의 탄생>의 카메라는 나를 따라다녔다. <오 마이 베이비>(에스비에스), <슈퍼맨이 돌아왔다>(한국방송2·이하 <슈퍼맨>)까지 나를 관찰하는 눈은 더 늘어났다. 프로그램이 많아진 탓일까. 카메라는 나한테 더 가까워졌다. 보행기에도 카메라가 달려 있고(<엄마의 탄생>), 장난감 수레를 타도 어김없이 카메라가 달려 있었다.(<슈퍼맨>). 목욕을 할 때도, 힘겹게 ‘응가’를 할 때도(<슈퍼맨>) 카메라 렌즈는 나를 놓치지 않았다. 한 달에 이틀, 잠에서 깨면 마법처럼 어느샌가 그곳에 달려 있었다.(<슈퍼맨>) 한 집에 카메라가 10대 정도 된다고 했다.3살 때, 아파트 거실에는 ‘작은 집’이 있고 거기엔 ‘삼촌’(카메라맨)이 산다는 걸 알게 됐다.(<슈퍼맨>, 서준·서언) 4살이 돼서는 아침마다 거실 안 삼촌네 집에 찾아가 인사를 했다.(<슈퍼맨>, 삼둥이) “아저씨 거기서 뭐 하세요?” 물어도 대답이 없었다. 삼촌들은 2~3명이 돌아가며 자리를 지켰고, 작은 구멍으로 김밥을 받아먹기도 했다. 한 방송사 피디는 “아이들에게 잘못된 어른관을 심어줄 수도 있다”고 걱정했지만, 사람들은 삼촌들한테 인사하는 나를 보면서 ‘예의 바르다’고만 했다. 아빠의 손을 잡고 밖에 나가면 더 많은 사람들이 나를 지켜봤다. 만지고 쓰다듬고 휴대전화로 나를 찍었다. 그런 사람들이 무서워 울기도 했다.(<일밤-아빠 어디 가>, 문화방송) 소아청소년정신과 전문의인 오은영 박사는 “주시불안이라고 해서 아이들은 낯선 사람이 자기를 주목하면 긴장감과 두려움을 갖게 되고 본능적으로 방어적이 되어 경계심을 갖게 된다”고 말했다.■ 10대, 사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