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antcast
Channel: 베이비트리
Viewing all articles
Browse latest Browse all 4145

학교는 얼마나 멀리 있나? - 자료로 본 한국, 한국인

$
0
0
우리나라의 지역별 아동수와 밀도 그리고 초등학교 정보 등을 한눈에 볼 수 있는 
데이터 저널리즘 블로그 내용을 소개합니다.

신기섭의 데이터 저널리즘 블로그
자료로 본 한국, 한국인 

저출산이 문제라고 걱정하는 소리는 많아도, 아이들을 위한 투자는 게을리하는 게 현실이다. 연초에 크게 문제가 됐지만, 아이들을 보낼 어린이집이 부족해 부모들이 발을 동동 구르는 현실이 이를 잘 보여준다. 정식 의무 교육 기관인 초등학교는 어떨까? 학교가 너무 멀어 고통을 겪는 어린이들이 전국에 얼마나 될까? 어린이집 파동에 즈음해 이런 물음에 답을 찾아보려 했다. 그 때는 이 작업이 이렇게 험난하리라고 생각하지 못했다. 공식 통계를 수집하고 정리하기만 하면 그 실태를 볼 수 있으리라는 건 착각이었다. 지역별로 “통학구역”이라는 것이 있지만, 이를 묶어서 공개한 광역 교육청은 거의 없다. 수도권 일부 교육지청의 자료를 찾아보다가 “이렇게는 안되겠다”고 포기하면서부터 이 작업은 “길고 긴 이야기”가 됐다. 그 오랜 작업의 결과를, 초등학생 거주지와 학교 분포로 본 교육 여건으로 정리해 4회로 나눠 쓴다.


[1편] “학교는 얼마나 멀리 있나?” 그 길고 긴 이야기

초등학교 분포와 인구조사로 본 교육 여건 분석 시리즈 <1> 수도권
서울 인구 밀집 지역에서도 면목, 수유, 목·등촌동 일부 통학거리 1km 넘어
인천 밀집 지역 중 서구 계양1동, 남구 용현동 일부에서도 “학교가 멀어요”

초등학교 분포와 인구조사로 본 교육 여건 분석 시리즈 <2> 영남권
부산은 강서구 금정구 기장군 일부 지역 통학 거리 좀더 길어
대구도 달성군 북구 동구의 인구 분산지역 빼면 대체로 양호

초등학교 분포와 인구조사로 본 교육 여건 분석 시리즈 <3> 충청, 호남, 강원, 제주
광주 동구와 북구, 대전 서구 유성구 대덕구 통학거리가 좀더 길어
 
초등학교 분포와 인구조사로 본 교육 여건 분석 시리즈 <4> 학교 여건 비교
서울에선 서초·송파 등 강남이 강북에 비해 '과밀'
도시 중에선 전북 김제, 강원 삼척, 경북 상주 양호

신기섭의 데이터 저널리즘 블로그(http://plug.hani.co.kr/data)에 가면 더 많은 정보를 볼 수 있습니다.


Viewing all articles
Browse latest Browse all 4145

Trending Artic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