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antcast
Channel: 베이비트리
Viewing all articles
Browse latest Browse all 4145

초미숙아 면역력에 산모 초유 큰 효과

$
0
0
이주의 건강 화제
미숙아한테 산모의 초유를 출생 직후 입안 점막에 묻혀주면 면역력을 높이고 패혈증에 걸릴 위험을 낮출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김한석(서울대병원)·이주영(분당서울대병원) 서울대 의대 소아청소년과 교수팀은 28주 전에 출생한 초미숙아 24명한테 출산 직후 엄마의 첫젖(초유)을 받아 입안의 볼 양쪽 점막에 0.1㎖씩, 3시간마다 사흘 동안 발랐다. 반면 같은 수의 다른 초미숙아 집단한테는 증류수 0.2㎖를 같은 방법으로 발라 두 방법의 효과를 비교했다.

그 결과 1주째에 아이들의 소변에서 검출된 면역글로불린에이(A)의 농도가 초유를 바른 집단(초유 집단)에서는 71.4ng/g이었지만 증류수를 바른 집단(증류수 집단)은 26.5ng/g에 그쳤다. 면역글로불린에이는 면역 기능에 중요한 구실을 하는 항체로 점막을 통해 침입하는 감염을 막는다. 신체 방어에 큰 도움을 주는 락토페린의 농도도 증류수 집단(0.9ng/g)에 비해 초유 집단의 수치(3.5ng/g)가 크게 높았다. 락토페린은 초유에 들어 있는 항균·항바이러스 물질로 엄마 젖을 통해서만 신생아한테 공급된다. 2주째에는 염증인자로 알려진 인터류킨-1 베타의 농도를 측정했더니 초유 집단(55.3ng/g)이 증류수 집단(91.8ng/g)보다 크게 낮았다. 인터류킨-1 베타는 미숙아에서 많이 발생하는 장염의 위험을 높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아울러 혈액이 세균에 감염되는 패혈증 발생률도 초유 집단(50%)이 증류수 집단(92%)보다 크게 낮았다.

연구팀은 “입안의 볼 양쪽 점막은 인체 내부가 외부와 만나는 점막으로, 이곳 조직에 있는 면역글로불린에이, 락토페린 등의 면역물질이 외부에서 침입하는 세균과 바이러스 등에 맞서 1차 방어 작용을 한다”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이어 “초유의 여러 면역인자들이 입안에 있는 ‘점막면역 림프조직’과 상호작용해 면역력을 높이는 것으로 추정된다. 좀 더 명확한 결과를 얻으려면 대규모의 연구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김한석 교수는 “초유의 이로움은 많이 알려져 있지만, 초유를 먹지 못하는 초미숙아에게도 도움이 되는지는 거의 알려져 있지 않았다”며 “입안 점막에 초유를 바르는 방법은 간단한데다 젖을 먹을 수 없는 미숙아한테 적용할 수 있어 유용하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소아청소년과 분야 국제적인 학술지인 <미국소아과학회지> 최신호에 실렸다.

김양중 의료전문기자

Viewing all articles
Browse latest Browse all 4145

Trending Artic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