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에서 희망을 찾는 국회의원 모임이 주최하고 중도·진보 성향의 15개 교육시민단체가 주관한 ‘2015 개정교육과정, 무엇이 문제인가?’ 토론회가 1일 오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리고 있다. 왼쪽부터 배희철 초등교육과정연구모임 이론분과장, 이찬승 교육을바꾸는사람들 대표, 신은희 청주 내덕초교 교사, 진영효 전국교직원노동조합 참교육실 정책국장, 손동빈 서울 신도림중 교사, 김효수 좋은교사운동교육실천위원장, 신성호 전국교직원노동조합 참교육실장. 이정아 기자 leej@hani.co.kr
2015 교육과정 개정 논란
11월까지 교육과정 연구한다며
고시는 9월말에 먼저 하기로
외국선 몇년 걸리는 교육과정
1년만에 ‘뚝딱’ 개발도
과탐·사탐 문이과 통합 추진
수능 개선안은 2017년에 예정 ‘혼란’
교육계·야당 “개정 작업 중단하라”
11월까지 교육과정 연구한다며
고시는 9월말에 먼저 하기로
외국선 몇년 걸리는 교육과정
1년만에 ‘뚝딱’ 개발도
과탐·사탐 문이과 통합 추진
수능 개선안은 2017년에 예정 ‘혼란’
교육계·야당 “개정 작업 중단하라”
교육부는 ‘국민과의 약속’이라며 9월말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과 각론 고시를 밀어붙이고 있다. 반면 교육계와 야당에서는 ‘학생들을 위해’ 개정 작업을 중단해야 한다는 요구가 거세다. 1일 서울 여의도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2015 개정 교육과정(안), 무엇이 문제인가’ 토론회에서는 무리한 개정에 따른 교육현장의 피해를 우려하는 절박한 목소리들이 한데 어우러져 ‘핏대’를 세웠다.■ 시한 정해놓고 졸속 개정 교육부는 지난해 9월12일 ‘2015 문·이과 통합형 교육과정 총론 주요사항 공청회’를 열었다. 공청회에서 제기된 문제를 제대로 반영할 시간도 없이 2주 만인 지난해 9월24일 총론 주요사항을 발표했다. 다른 나라에서 몇년씩 걸리는 개발 과정을 1년 만에 끝내고 올해 8월에 총론 시안을 발표했고, 9월말 역시 초고속으로 새 교육과정을 고시할 계획이다. 배희철 초등교육과정연구모임 이론분과장은 “교육부 연구용역 공문을 보면 교육과정 연구를 (교육과정 고시 이후인) 11월까지 진행한다는데, 아직 연구도 안 끝난 교육과정을 고시한다는 얘기”라고 짚었다.촉박한 교육과정 개정 일정상 9월 고시 직후부터 내년 3월 새 학기가 시작되기 전에 초등 1·2학년 실험본 교과서 개발과 발행을 마쳐야 한다. 그래야 실험본을 수정해가며 교육부 예정대로 2017학년도부터 새 교과서를 배포할 수 있다. 실험본 개발 기간이 이렇게 짧으면 부실 개발 위험이 크다. 신은희 청주 내덕초 교사는 “교육부가 1학기 교과서는 실험본을 아예 생략하려 한다는 얘기가 나오는데, 차라리 교육과정 적용을 늦추는 게 순리”라고 짚었다.■ 최소한의 검증도 없는 새로운 개념 도입 이번 교육과정에서는 ‘빅 아이디어’ 등 새로운 개념이 대거 도입된다. 예컨대 <2015 개정 교육과정 전문가 1차 포럼 자료집>을 보면, “역사 개념들을 ‘시간·영속성·변화’로 묶게 되면 역사 교과의 빅 아이디어”라고 제시한다. 빅 아이디어란 여러 학문을 아우르는 개념이나 원리를 뜻한다. 이를 통합사회와 통합과학 등 교과목에 도입하려는 야심찬 발상이다.이찬승 ‘교육을 바꾸는 사람들’ 대표는 “개념도 제대로 정립되지 않았고 빅 아이디어에 따른 수업·평가 준비도 전혀 안 됐다”며 “(현실이 어떻든) 일단 교육과정 문서에 넣고 보자는 발상”이라고 비판했다. 또 “문·이과 통합, 창의융합형 인재 양성도 내용과 정체가 불분명한 구호로 ‘장난을 친 것’이나 다름없다”고 꼬집었다.■ 개정 목적과 수단 불일치 이번 교육과정 개정은 애초 ‘문·이과 칸막이’를 없애 창의융합형 인재를 양성하겠다며 시작됐다. 하지만 2009 교육과정부터 교육과정상 문·이과 구분은 없었다. 문·이과 칸막이는 수능에서 사회탐구와 과학탐구 과목들을 문·이과로 나눠 시험을 치르는 탓에 지속되고 있다. 수능 체제를 개선하면 되는데, 교육부는 과학탐구와 사회탐구 과목을 통합교과로 개발해 고교에서 공통으로 가르치겠다고 방향을 틀었다. 하지만 정작 수능 개선안은 2017년에야 발표하겠다고 버텨 혼란을 키우고 있다.유은혜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은 “교육과정 개정을 시작한 취지와 배경보다 ‘개정을 위한 개정’이라는 빈축만 사고 있다”며 “대학입시와 고교 서열화, 교원 증원 등 제반 여건에 대한 청사진이 없는 상황에서 교육과정 개정이 실효를 거둘지 의문”이라고 짚었다.전정윤 기자 ggum@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