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antcast
Channel: 베이비트리
Viewing all articles
Browse latest Browse all 4145

그때 독도를 울린 제주 여성들의 숨비소리

$
0
0
그림 파란자전거 제공
그림 파란자전거 제공
1950년대 협재 해녀들
독도로 가서 미역 땄단다
박옥랑 할머니의 실화
독도 바다야 기억해주길
144369866175_20151002.JPG
애기해녀 옥랑이 
미역 따러 독도 가요!

허영선 글, 김금숙 그림/파란자전거1만1900원

“호오이~.” “호오잇.” “호오이.”

물속에서 숨을 참았다가 물 밖에 나오면 새어나오는 이 소리. 어린 옥랑은 엄마의 숨비 소리를 들으며 숨비를 배웠다. 바닷물 속에 들어가는 걸 숨비라 했다. 물에 들어가 미역도 따고 전복 따고 성게 따고 소라도 따는 걸 물질이라 했다. 어린 아이가 물질을 하는 걸 ‘애기 물질’이라 했다.

“이레 숨비라, 저레 숨비라.” 엉덩이 삐죽삐죽 애기 물질 배울 때 엄마는 말했다. “옥랑아, 물질 배워야 먹고산다. 숨 꾹 참고 바다 돌멩이, 모래 한줌이라도 건져 봐라.” 제주 해녀들은 본디 ‘

녀’(잠녀)라 불렸다. 물에 잠겨 물질을 한다 하여 잠녀라 했다.

동해바다에 오뚝 솟은 ‘국토의 막내’ 독도. 남해바다에 우뚝하니 설문대할망이 빚은 ‘국토의 제일 섬’ 제주. 저 새파란 독도 바다는 기억하고 있을까? 제주의 잠녀들이 저 먼 1950년대에 독도로 물질하러 왔다는 걸?

<애기해녀 옥랑이 미역 따러 독도 가요!>는 ‘애기 잠녀’에서 솜털 보송보송 처녀로 자라 콩콩 가슴 뛰는 첫 바깥 물질을 독도로 나갔던 박옥랑의 이야기를 그림책에 담았다. 제주 시인 허영선이 글을 쓰고 만화 <지슬>의 김금숙이 그림을 그렸다. 6·25전쟁과 4·3항쟁의 기운이 채 가시지 않아 전 국토가 배고팠던 1953년, 제주 협재 잠녀 여섯명이 독도로 첫 원정 물질을 갔다. 독도는 “물 반 미역 반”, 제주 바다를 닮은 그 옥빛 물속엔 전복이 “나무열매 같이 다랑다랑 달려” 있더랬다. 아니 “쇠똥같이 다닥다닥 박혀” 있더랬다.

우리의 주인공 옥랑은 벌써 엄마가 그리운데, 씨억씨억한 언니들은 고향 두고 온 아기를 마음에 쟁여둔 채 “미역 천지구나” 하며 바다 밭으로 뛰어들었더랬다.

“이어싸나 이어싸나/ 바람일랑 밥으로 먹고/ 구름으로 똥을 싸고…./ 물결일랑 집안을 삼아/ 설운 어머니 떼어 두고/ 설운 아버지 떼어 두고/ 부모 동생 이별하고…./ 쳐라 쳐라.”

아직은 여린 옥랑의 마음을 독도의 강치 떼가 어루만졌다고 한다. “울라탕울라탕.” 독도에 경비소를 지으려 통나무를 잔뜩 싣고 온 배가 산더미 파도에 뒤집혀 선원들이 발만 동동 구를 때도 제주 해녀들이 “풍덩” 뛰어들어 둥둥 뜬 통나무를 뭍으로 날랐더랬다.

소문은 금세 화악 퍼져 너도나도 독도로 물질을 나섰더랬다. 3월 초에 들어가 두 달 남짓 5월까지, 그렇게 20년 남짓 “물개처럼 훨훨 그 바다를 누볐”다고 한다. 제주 잠녀들에게 독도는 제2의 고향 바다였더랬다. 제주 시인의 바람처럼, 저 독도 바다는 잊지 않으리라, 그 시절 제주 해녀들의 숨비 소리를. 이젠 할머니 된 ‘애기 해녀 옥랑’이 지금은 없는 강치 떼를 가슴에 새겼듯이. 4살부터

허미경 선임기자 carmen@hani.co.kr

Viewing all articles
Browse latest Browse all 4145

Trending Artic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