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0617_1.jpg 20130617_1.jpg](http://babytree.hani.co.kr/files/attach/images/72/459/117/20130617_1.jpg)
그림 해그림 제공 |
내 이름은 파리지옥
이지유 글, 김이랑 그림
해그림·1만1000원
수다쟁이 ‘몬스테라’의 대화
유쾌함 끝에 숙연한 깨달음이과학적 지식을 동화적 캐릭터와 사건에 담아 전달하는 논픽션 책 만들기는, 두 마리 토끼를 쫓는 일과 비슷할 것이다. <내 이름은 파리지옥>은 정보와 이야기라는 두 토끼를 양손에 들고 의기양양해하는 사냥꾼 같은 책이다. 광합성이란 무엇인지, 잎들은 왜 모두 다르게 생겼는지, 물관과 체관은 무엇인지 같은 기본 사항 사이에 식충식물의 진화 과정이나 곤충 잡는 방식 같은 독특한 사항이 짜여 들어가 있는데, 그 정보의 양이 부담 없이 받아들일 만하다.이 책에서 정보를 부담 없을 뿐 아니라 재미있게 받아들이게 하는 구실을 맡는 것은 파리지옥과 ‘치즈잎’으로 불리기도 하는 몬스테라 캐릭터이다. 파리지옥은 ‘치료 불가능한 공주병 환자’이고 몬스테라는 잠시도 입을 가만두지 않는 수다쟁이다. 이 둘이 주고받는 대화는 마치 만담처럼 혹은 판소리처럼 끊이지 않고 흥겹게 전개된다. 가만히 귀 기울이고 있으면 고수의 북장단 소리까지 들릴 듯하다. ‘별똥별 아줌마’라는 별명이 붙은 지은이의 아줌마다운 입담에 표정 풍부한 만화풍 일러스트가 어우러져 만드는 효과이다.티격태격 종알종알 이어지는 둘의 수다는 재미있게 정보를 전달해 주지만, 그 끝에는 자연의 숙연한 섭리에 대한 깨달음도 스며들어 있다. 먹고 먹히면서 이어지는 생명의 고리, 그 안에서 치열하게 살고 겸허하게 죽는 한 존재의 의미는 인간이나 동물이나 식물이 다를 바 없다는 것이다. 파리지옥이나 몬스테라는 우리 야생초가 아니라 식물원이나 화원에 가야 볼 수 있는 식물이지만, 그렇다고 그 의미나 가치가 덜한 것은 아니다. ‘다문화’ 교육은 이런 식으로도 할 수 있겠구나 싶다. 초등 3학년부터.김서정/작가·중앙대 강의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