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antcast
Channel: 베이비트리
Viewing all articles
Browse latest Browse all 4145

한의사 아빠-의사 엄마, 아이 열나면?

$
0
0
babytree_book_20(1).jpg
1447067635_00543738001_20151110.JPG
부모가 의사라도 아이는 아프다
박은성·이혜란 지음/엔자임 헬쓰 펴냄, 1만3800원

한의사 아빠와 의사 엄마가 세 아이를 키운다면 탈 없이 잘 키울 수 있을까? <부모가 의사라도 아이는 아프다>의 저자 박은성(34)씨는 경희의료원 부속한방병원에서 한방소아과를 전공한 한의사이고 이혜란(34)씨는 성균관대학교 대학원에 다니며 삼성서울병원 산부인과에서 전공의 과정 중에 있다. 부부는 슬하에 6살, 4살, 2살 세 자녀를 두었는데, 서로 의학적 지식과 신념이 달라 아이들을 키우며 많이 싸웠다.

이 책은 부부가 임신·출산·육아 과정에서 경험한 다양한 에피소드와 영유아 아이들을 키울 때 알아두면 좋을 의학적 지식을 잘 버무려 엮었다. 흔히 한의사와 의사들은 상반된 관점 때문에 어떤 사안에 대해 평행선을 달리기 마련인데, 이 책의 저자들은 자신들의 아이를 위한 최선의 지점이 무엇인지 합의점을 찾아가는 모습을 보여준다. 독자는 어떤 한쪽의 입장이 아니라 양쪽의 시각을 골고루 접할 수 있고 어떤 맥락에서 한의학과 양의학이 다른지 알 수 있다.

한의사와 의사가 충돌하는 가장 대표적인 경우가 열에 대한 대처 방식이다. “열이 너무 높아 해열제를 먹였다”는 의사 엄마에게 한의사 아빠는 “별로 높지도 않은데 해열제를 먹였다”고 타박을 준다. 의사는 한의사보다 열에 더 민감하다. 병원에서 열로 인해 발생하는 각종 질병들을 자주 접하기 때문이다. 반면 한의학에서는 인간 본연의 치유력을 중요시하기 때문에 인위적인 해열제를 꺼린다.

아이가 아픈 와중에도 부부는 ‘해열제 투입 찬반 논쟁’을 하다 결국 체온이 39℃가 넘어가면 일단 해열제를 먹이기로 합의점을 찾는다. 그래도 열이 떨어지지 않고 아이 상태가 안 좋으면 병원에 데려가거나 경우에 따라 수액 같은 다른 약을 쓰기로 한다. 39℃가 넘지 않으면 해열제 대신 한약제제를 먹이고 쉬게 하면서 지켜보기로 한다. 저자들은 39℃가 절대적인 기준이라기보다 해열제나 항생제에 너무 얽매일 필요가 없고 어떤 것이 아이의 상황에 최선인가 생각하면서 대처해야 한다고 말한다. 열 대처 방식 외에도 부부는 선택 예방접종이나 변비가 있을 때 관장 여부 등을 놓고 의견이 충돌하기도 한다.

기존의 건강 육아서들이 백과사전식으로 건강법이나 응급상황 대처법을 제시했다면, 이 책은 의사·한의사 부부가 실제로 세 자녀를 키우며 겪었던 경험을 토대로 서술해나가 지루하지 않다. 또 영유아를 키우며 반드시 알아야 할 육아 상식들을 꼼꼼하게 정리했다.

양선아 기자

Viewing all articles
Browse latest Browse all 4145

Trending Artic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