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실 오류 및 편향성 논란으로 ‘부실 교과서’라는 비판을 받아온 초등 6학년 국정 사회(역사)교과서에 대해 전국 교사 2576명이 실명을 내걸고 “그대로 가르치지 않겠다”고 선언했다.
25일 전국교직원노동조합은 ‘우리 역사 제대로 가르치기 전국 초등학교 교사 선언’을 발표했다. 이들은 “초등 6학년 역사교과서는 2014년 9월 실험본에서 수백개의 사실 오류와 편향성을 지적받은 뒤 보완 과정을 거쳐 올해 3월에 발간됐으나, 역사학계와 교육계 분석을 통해 또다시 124군데의 사실 오류와 편향성이 발견됐다”며 “교과서 오류 분석 결과와 보완자료를 참고해 교육과정과 교재를 재구성하여 ‘우리 역사 제대로 가르치기’를 실천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들은 이와 함께 역사 보완교재 제작, 관련 교사 연수 개설, 대안교재 개발 등을 시·도 교육청에 요구했다. 교육부에는 역사학계와 교육 현장으로부터 ‘부적합’ 판정을 받은 초등 국정 역사교과서를 폐기하고, 교과서 발행 체제를 인정·자유발행 체제로 전환하라고 촉구했다.
노미경 전교조 초등위원장은 교사 선언이 나온 배경에 대해 “줄곧 국정교과서 체제로 운영된 초등학교에서 교과서 부실 문제는 어제오늘 일이 아니다”라며 “국정교과서에 대한 신뢰가 많이 떨어져 있기 때문에 교사들이 학생들과의 질 높은 수업을 위해 적극적으로 교과서 외 다양한 자료를 활용하겠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문제가 된 초등 6학년 사회교과서는 한국근현대사 부분이 포함된 사실상의 ‘역사교과서’로, 3·1운동 발발 지역 수를 틀리는 등 사실 오류(93건), 위안부·친일파·빈부격차 등의 용어 삭제 등과 같은 편향적 서술(31건)의 문제가 있다는 역사학계의 분석 결과가 지난 3월 발표된 바 있다.
진명선 기자 torani@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