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antcast
Channel: 베이비트리
Viewing all articles
Browse latest Browse all 4145

‘디지털 불평등’ 영국과 한국의 경우

$
0
0

인터넷은 ‘지식의 민주화’를 가져왔다고 한다. 촘촘한 네트워크에 누구나 자유롭게 접속할 수 있고 지식 생산과 유통, 소비에 참여할 수 있다. 그런데 이를 활용하는 기회의 평등이라는 차원에서도 그러할까? 영국의 청소년을 위한 재단 프린스트러스트가 2016년 12월에 발표한 보고서는 ‘그렇지 않다’고 답한다. 이 보고서는 90% 넘는 영국 청소년이 스마트폰을 쓰지만 소외 계층의 청소년들은 접속수단의 다양성과 디지털 기술 사용 수준에서 차이를 보이고 있다고 지적한다. 그 차이는 교육과 직업의 기회에 대한 차별로 이어지는 ‘디지털 불평등’이 된다.


조사에 따르면 절반에 가까운 영국의 소외 계층 청소년들은 온라인에서 누구도 신뢰하지 못하고, 40%는 다른 사람의 부적절한 행동에 어떻게 대응해야 할지 모르고, 83%는 필요할 때 누구의 도움도 받지 못했다고 한다. 영국 청소년의 60%가 인터넷과 디지털 기술의 사용에 자신감을 표현할 때, 그들은 직업을 얻기 위한 온라인 활동의 방법조차 알지 못하고 있다.


뛰어난 정보기술 환경을 자랑하는 우리의 현실은 어떠할까? 경제협력개발기구의 2015년도 보고서 <학생, 컴퓨터, 학습>을 보면 한국의 디지털 기술의 교육 활용 수준은 최하위로 나타났다. 한국이 기록하고 있는 많은 꼴찌 목록에 하나 더 추가하는 의미로만 받아들여야 할까?


이 보고서에 나타나지 않은 정보기술 강국 한국의 민낯은 참혹할 정도다. 세계 최저 수준의 청소년 인터넷 사용시간과 최고 수준의 디지털 중독 위험, 악성댓글과 사이버 폭력에 무방비로 노출된 아이들, 제대로 된 디지털 교육 사이트 하나 없고 변변한 교육용 프로그램 하나 찾아보기 힘든 나라다.


적어도 한국은 영국과 같은 디지털 불평등은 없는 나라로 보인다. 모두가 제대로 된 디지털 교육을 받고 있지 못하다는 의미에서 ‘평등한 사회’인 것이다. 차라리 영국의 디지털 불평등이 부럽고, 그런 우리의 디지털 교육 현실이 부끄럽다.


이재포 협동조합 소요 이사장


Viewing all articles
Browse latest Browse all 4145

Trending Artic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