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칼럼에서는 난시란 어떤 것이며 난시가 있을 때 눈 또는 전신적으로 미치는 영향과 그 관리 및 교정 방법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girl-1281616_960_720.jpg girl-1281616_960_720.jpg](http://babytree.hani.co.kr/files/attach/images/72/254/712/031/girl-1281616_960_720.jpg)
1. 난시란 눈의 어떤 상태를 말하는 것인가요?
거의 대부분 난시는 각막에서 생기는 현상인데 그 형태가 아래의 그림과 같이 구형인지 타원형인지에 따라 결정이 된다. 구형일 때를 정시라 하고 타원형일 때를 난시라고 할 수 있다. 때에 따라서는 불규칙 한 형태를 나타내는 경우도 있는데 이를 불규칙난시라고 할 수 있다
![이윤상_그림12.jpg 이윤상_그림12.jpg](http://babytree.hani.co.kr/files/attach/images/72/254/712/031/%EC%9D%B4%EC%9C%A4%EC%83%81_%EA%B7%B8%EB%A6%BC12.jpg)
[그림 1. 난시가 없는 구형 각막 형태] [그림 2. 난시가 있는 타원형 각막 형태]
![이윤상_그림3.jpg 이윤상_그림3.jpg](http://babytree.hani.co.kr/files/attach/images/72/254/712/031/%EC%9D%B4%EC%9C%A4%EC%83%81_%EA%B7%B8%EB%A6%BC3.jpg)
[그림 3. 불규칙난시]
2. 난시가 있으면 어떻게 보이며 눈에 나타나는 증상은 어떤 것이 있나요?
가장 크게 나타나는 증상으로 사물이 흐리게 보이고 그에 따른 눈의 피로가 쌓여 시간이 갈수록 심해진다. 사물이 흐트러져 보이기 때문에 오랜 시간 책을 보거나 학업에 집중하기 힘들다.
정시는 [그림 4]와 같이 또렷하게 상이 맺히나 난시가 있을 때는 난시형태에 따라 [그림 5, 6]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어느 부분은 진하게 보이고 어느 부분은 흐리게 보인다.
![이윤상_그림4.jpg 이윤상_그림4.jpg](http://babytree.hani.co.kr/files/attach/images/72/254/712/031/%EC%9D%B4%EC%9C%A4%EC%83%81_%EA%B7%B8%EB%A6%BC4.jpg)
[그림 4. 정시] [그림 5. 수평난시가 있을 때] [그림 6. 수직난시가 있을 때]
![이윤상_그림7.jpg 이윤상_그림7.jpg](http://babytree.hani.co.kr/files/attach/images/72/254/712/031/%EC%9D%B4%EC%9C%A4%EC%83%81_%EA%B7%B8%EB%A6%BC7.jpg)
[그림 7. 난시가 있을 때 상이 두 군데 맺힌다]
난시는 정시 또는 근시만 있을 때와 달리 물체의 상이 앞과 뒷부분 두 군데서 맺혀지게 되기 때문이다.
어린 나이에 난시가 있는 경우 상이 흐트러져 보이는 현상으로 시력발달에 좋지 않으며 두통이 자주 생기기도 한다. 독서나 학업을 지속하기 힘들어 하기 때문에 난시로 인해 여러 가지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정확한 검사에 따른 적절한 교정이 필요하다.
3. 난시가 있을 경우에는 어떻게 교정할 수 있나요? 어떤 처치를 해야 하나요?
난시가 있을 경우 교정하는 방법으로는 안경, 콘택트렌즈, 낮 동안 활동이 자유로운 수면착용교정렌즈(일명 드림, OK렌즈) 세 가지 라고 할 수 있다.
첫째, 안경 착용은 어린아이에게 가장 간편하고 효과적인 방법일 것이다. 안경을 착용할 때는 각막 형태에 따라서 난시축과 난시량을 정해서 교정해 주게 된다. 그러나 안경착용은 눈의 촛점을 안경 촛점이 따라 움직여 주지 못하므로 난시의 종류나 양에 따라 어떤 경우에는 충분한 교정효과를 보기 어려울 수 있다.
둘째, 콘택트렌즈 중에서 난시교정용 소프트렌즈는 재질특성상 각막의 난시 굴곡을 정확하게 잡아줄 수 없기 때문에 상이 흔들리고 흐트러져 보여 난시교정 효과가 떨어진다. 산소투과성(RGP하드)렌즈는 각막의 굴곡을 눈물고임으로 완전히 교정해 주어 난시에 탁월한 교정효과를 얻을 수 있다. 난시가 아주 심한 경우나 불규칙난시는 형태에 따라 특수하게 완전 맞춤형으로 주문 제작하여 착용하는 경우도 있다.
[그림 8] 증례는 원시와 심한 근시성 난시로 오래 집중할 수 없고 오후가 될수록 눈이 아프고 두통이 생겨 매우 힘들게 생활하였으나 산소투과성(RGP하드)렌즈로서 1D(디옵터) 미만의 정상범위로 교정되어 난시가 없는 깨끗한 상이 각막을 통과해 정시로 보게 되었다.
![이윤상_그림8.jpg 이윤상_그림8.jpg](http://babytree.hani.co.kr/files/attach/images/72/254/712/031/%EC%9D%B4%EC%9C%A4%EC%83%81_%EA%B7%B8%EB%A6%BC8.jpg)
[그림 8. 원시와 심한 근시성 난시 증례]
셋째, 수면착용교정렌즈(일명 드림, OK렌즈)는 난시 형태와 양에 따라 주문 제작하여 맞추게 되면 수면 중에 교정이 되어 낮 동안에 안경이나 렌즈 없이 정상 시력으로 활동이 자유로운 생활을 할 수 있다.
![이윤상_그림9.jpg 이윤상_그림9.jpg](http://babytree.hani.co.kr/files/attach/images/72/254/712/031/%EC%9D%B4%EC%9C%A4%EC%83%81_%EA%B7%B8%EB%A6%BC9.jpg)
[그림 9. 수면착용교정렌즈(일명 드림, OK렌즈) 교정된 각막 형태]
[그림 9] 위의 각막지형도는 근시가 교정된 모습이고 아래의 각막지형도는 근시와 난시 모두 교정된 모습이다.
성장기 어린아이나 학생에 있어서 시력이 나쁜 경우는 근시로 인한 경우가 대부분이나 그 중에 30~40%는 난시도 포함되어 근시와 난시를 함께 교정해야만 한다.
정기적인 안과진료를 통하여 시력저하의 원인이 어떠한 것인가를 찾아 적절한 조치를 취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