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antcast
Channel: 베이비트리
Viewing all articles
Browse latest Browse all 4145

소아청소년 100명 가운데 2.4명 고도비만

$
0
0
고려대 소아청소년과 교수팀, 약 2만명 분석
전체의 2.4%가 체질량지수 30이상인 고도비만
당뇨·고혈압 등 위험, 몸무게 정상 또래보다 66배 ↑

우리나라 소아청소년 100명 가운데 2.4명이 고도비만에 해당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당뇨·고혈압 등 여러 생활습관병에 걸릴 위험이 높은 ‘대사증후군’에 해당될 가능성이 정상 몸무게인 또래보다 최대 66배나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고도비만은 몸무게(㎏)를 키(m)의 제곱으로 나눈 값인 체질량 지수가 30 이상인 경우를 말하며, 비만은 25 이상인 경우다.

2일 이기형·남효경 고려대의대 안암병원 소아청소년과 교수팀이 2001∼2014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참여한 2∼19살 소아·청소년 1만9593명을 대상으로 비만도를 분석한 결과, 2014년 기준 고도비만 유병률은 2.4%로 나타났다. 해당 비율은 1998년 0.7%에서 2001년 1.8% 등으로 최근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다. 특히 10∼19살 남자 청소년의 경우 1998년 0.9%에 머물렀던 고도비만 유병률이 2014년에는 4.7%로 급증했다. 문제는 고도비만인 경우 대사증후군에 걸릴 위험을 높여 당뇨·고혈압 등 생활습관병에 걸릴 가능성이 커진다는 것이다. 실제 고도비만 소아청소년 가운데 대사증후군에 해당되는 비율은 남자 51.9%, 여자 33.5%로 정상 몸무게인 청소년(남 1.6%, 여 1.2%)이나 비만에 해당되는 소아청소년(남 22.2%, 여 20.3%)보다 훨씬 높았다. 대사증후군은 복부비만, 고혈당, 고혈압, 고중성지방혈증, 저고밀도콜레스테롤혈증 가운데 3개 이상이 해당되는 경우이다. 연구팀은 고도비만인 경우 대사증후군을 동반할 위험이 정상 몸무게인 소아청소년보다 66배, 비만인 경우보다 3배에 이르는 것으로 분석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소아 내분비·대사학 저널> 최신호에 발표됐다.

김양중 기자 himtrain@hani.co.kr


Viewing all articles
Browse latest Browse all 4145

Trending Artic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