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antcast
Channel: 베이비트리
Viewing all articles
Browse latest Browse all 4145

한국 초등3학년 행복감 ‘세계 최하위권’

$
0
0
세이브더칠드런, 16개국 비교연구
14위…과도한 사교육 ‘학업 스트레스’
중1로 올라가면 더 떨어져 ‘꼴찌’ 

한국 초등학교 3학년(만 8살)의 물질적 여건은 국제적으로 최상위권인데 반해 ‘행복감’은 에티오피아 등과 함께 최하위 수준이라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행복감이 낮은 건 과도한 사교육으로 학업 스트레스가 크고, 가족과 보내는 시간이 적은 탓으로 분석된다.

국제구호개발 시민단체 세이브더칠드런과 서울대 사회복지연구소는 1일 이런 내용이 담긴 <초등학교 3학년 아동의 행복감 국제 비교연구>를 발표했다. 이 연구에선 알제리, 콜롬비아, 영국, 에스토니아, 독일 등 16개 국가의 만 8살과 10살, 12살 어린이 5만6000명을 조사한 뒤, 만 8살 어린이 1만7496명을 따로 추출해 심층 분석했다.

분석 결과 한국 초등 3학년의 ‘행복감’은 에티오피아(16위), 네팔(15위)에 조금 앞선 14위에 그쳤다. 시간 사용에서 한국 초등 3학년은 방과 후 교육(3위)에 많은 시간을 할애했지만, 가족과 함께 대화하거나 노는 시간 비율은 16위로 꼴찌였다. 친구와 함께 놀거나 운동을 하는 여가 활동 수준은 12위에 그쳤다.

초등 3학년생들은 학교에서도 행복하지 않았다. 학교 성적 만족도나 교사와의 관계 만족도는 꼴찌인 16위를 기록했다. 또 ‘선생님에게 존중받는다’(14위), ‘공평한 대우를 받는다’(14위), ‘학교 가는 것이 좋다’(15위) 등 질문에 대한 응답도 최하위권에 그쳤다.

물질적 만족도는 최상위였지만, 그에 따른 행복감은 낮았다. 옷이나 컴퓨터, 티브이가 있는지를 묻는 조사에서는 1위를 기록했는데도, 가지고 있는 돈이나 물건으로 ‘얼마나 행복한가’를 물었을 때의 만족도는 14위에 그쳤다.

또한 한국 어린이들은 초등 3학년에서 중학교 1학년으로 학년이 올라갈수록 더 낮은 행복감을 보인 것으로 조사됐다. 친구관계, 학교생활 등 5개 영역만 놓고 본 한국 어린이 만족도는 만 8살 13위에서 중1 꼴찌로 떨어졌다. 이번 연구를 총괄한 이봉주 서울대 사회복지학과 교수는 “물질적인 지표에서는 국제적으로 최상위 수준임에도 불구하고 아동 스스로가 느끼는 행복감이 하위권이다. 아동들을 둘러싼 사회환경의 변화를 추구해야 아동 행복도를 높일 수 있다”고 지적했다.

박수진 기자 jjinpd@hani.co.kr

Viewing all articles
Browse latest Browse all 4145

Trending Artic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