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antcast
Channel: 베이비트리
Viewing all articles
Browse latest Browse all 4145

놀 권리 위해 공공형 실내 놀이터를

$
0
0
편해문의 놀이터 뒤집어보기
 
지난 5월15일 ‘미세먼지 바로 알기 교실’을 방문한 문재인 대통령에게 5학년 김지연 학생이 했던 말은 흘려 들을 수 없는 내용이었다. “(미세먼지 때문에) 밖에서 놀 수도 없고 그러니까 실내에서 놀 수 있는 것들 좀 만들어 주셨으면 좋겠어요.” 이에 대한 대통령의 답변은 이랬다. “미세먼지 농도가 어느 정도 기준을 넘어서면 그때부터는 야외활동이나 실외 수업을 하지 않고 교실 안에서 수업을 하도록 그렇게 방침을 정하는 겁니다.” 더불어 교실 내 공기청정기와 미세먼지 측정기 설치, 그리고 간이체육관 건립 등도 이야기했다. 필요한 조치이다. 그러나 어린이 이야기에 좀더 귀를 기울여야 한다. 어린이는 공기청정기나 미세먼지 측정기를 원하는 것이 아니라 밖은 비록 미세먼지가 많아도 안에서 놀 수 있는 장소가 필요하다고 절절히 외친 것이다.

이보다 한 달 앞서 서울시교육청은 ‘학교 미세먼지 종합관리 대책’을 발표했다. 핵심은 미세먼지가 보통인 경우라도 야외 수업을 자제하겠다는 것이다. 왜냐하면, 세계보건기구(WHO) 권고 기준으로 보면 우리의 ‘보통’이 ‘주의나 심각’ 단계에 해당하기 때문이다. 필요한 조처이다. 이 뉴스를 보면서 나는 드디어 올 것이 오는구나 하며 가슴을 쓸어내렸다. 몇 년 전 쓴 책에서 앞으로 10~20년 안에 한국의 많은 바깥 놀이터가 문을 닫게 될 것이라고 감히 예단했다. 그 까닭은 앞서 나온 미세먼지, 자외선, 산성비, 저출산 같은 변화 때문이다. 그러나 그 시절이 이렇게 빨리 들이닥치니 황망하다.

512 (1).jpg» 편해문 놀이터 디자이너는 지난해부터 경기도 시흥시 보건소, 시민, 어린이와 함께 태스크포스(TF)를 꾸려 ‘공공형 어린이 실내 놀이공간’ 논의와 워크숍을 진행해왔다. 미세먼지와 자외선, 산성비 등 환경적 변화로 실외 공공 놀이터뿐만 아니라 실내 공공 놀이터도 필요하다는 문제의식이 있었기 때문이다. 편해문씨 제공
이렇듯 공식적으로 어린이에게 밖에 나가지 말라는 선언을 하는 단계에 우리 사회가 도달했다. 어린이의 놀이를 위축시키거나 방해하는 것이 무엇인지 찾고 그 출구를 찾아 부모와 교사와 지혜를 모으며 살아왔는데 난데없는 상황과 정면으로 맞닥뜨린 셈이다.

지난해부터 경기도 시흥시 보건소와 시민과 어린이와 함께 태스크포스(TF)를 꾸려 ‘공공형 어린이 실내 놀이공간’ 논의와 워크숍을 해왔다. 지난달에는 ‘맘&아이 플레이센터’(가칭)란 이름으로 공공형 어린이 실내놀이터 기본설계 설명회를 열었다.

이 일은 크게 세 가지 진단에서 출발한다. 첫째, 도시 한복판에 더는 어린이가 놀 공간 마련이 어렵다. 둘째, 어린이가 밖에서 놀 수 있는 날이 급격히 줄고 있다. 셋째, 상업적 실내 놀이터의 이용 부담이 너무 커 생기는 어린이 놀이 기회의 불평등이 심각하다.

이제 교육청도 지자체도 정부도 기후와 환경변화에 따른 유엔이 요구하는 ‘어린이 놀 권리 권고’에 대한 출구를 새롭게 마련해야 한다. 날씨가 좋은 날은 당연히 밖에서 놀아야 한다. 하지만 미세먼지와 같은 강력한 외부 활동 제한 요인이 발생해도 어린이는 놀 수 있어야 한다. 그래야 어린이가 산다. 실내 놀이터는 이제 선택이 아닌 필수이며 이것을 공공의 영역에서 자임해야 한다. 무상의 구립, 군립, 시립, 도립 ‘공공형 어린이 실내 놀이터’ 만들기를 논의하는 자리도 곧 마련하려고 한다. 앞으로 10년 안에 대다수 공공기관이 ‘공공형 어린이 실내 놀이터’를 의무적으로 갖추기를 바란다. 어린이들이 날씨가 좋고 나쁨에 구애받지 않고 안과 밖에서 뛰어놀 수 있게 준비하자. <끝>

편해문 놀이터 비평가 hm1969@hanmail.net

* 그동안 편해문 선생님의 `놀이터 뒤집어보기'칼럼을 사랑해주신 독자분들께 감사드립니다. 이번 글을 끝으로 편해문 선생님의 놀이터 비평 칼럼을 종료합니다.


Viewing all articles
Browse latest Browse all 4145

Trending Artic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