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antcast
Channel: 베이비트리
Viewing all articles
Browse latest Browse all 4145

아이가 열이 나요, 어떻게 하나요?

$
0
0

아이가 열이 나면 무섭습니다.
, 어떻게 관리해야 할까요?


건강한 면역력을 키우는 기초지식 #9
아홉 번째 시간에는 에 대해 알아봅니다



모던한의사8.jpg



열이 나면 큰 문제가 생기나요?


드물게 발생하는 열성 간질 지속증이나 열사병을 제외하고 고열이 뇌손상 등을 초래한다는 걱정을 뒷받침하는 근거는 없다. [홍창의 소아과학 제11]


열은 병균이 만드는 나쁜 증상이 아니라, 병균과 싸우는 면역 작용입니다. 열 자체가 뇌에 이상을 일으키지는 않습니다. 열에 대한 두려움을 조금 줄여도 괜찮습니다. 미국소아과학회에서는 열을 두려워하는 부모님들에게 이렇게 이야기합니다.


The fever may actually be important in helping your fight his or her infection. 열은 아이가 감염과 싸우도록 돕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미국소아과학회  

winter-3807130_960_720.jpg» 사진 픽사베이.

열이 안 떨어지면 어떡하죠?


열은 떨어집니다.


면역력이 병균과 싸워 이기면 열은 저절로 떨어지죠. 간혹 고열이 오래 지속하면 강한 병균일 수 있어 항생제의 도움을 받기도 합니다. 그래서 열이 나면 원인이 무엇인지 병원에 가야 합니다. 아이 혼자서 이겨낼 만하면 해열제로 관리하고, 강한 병균이면 다른 약물을 함께 사용합니다. 한없이 열이 지속하고 머리에 문제가 생기진 않습니다. 열은 필요한 만큼 나고 저절로 떨어집니다.


, 이렇게 날 수 있어요.


열은 병균 감염의 시작입니다.
열은 보통 감기 초반에 납니다. 편도가 함께 붓는 경우가 많죠. 열이 떨어지더라도 콧물과 기침은 더 지속할 수 있습니다. 열부터 시작해 콧물, 기침이 완전히 낫기까지 평균 2주가 걸립니다.


열은 오르락내리락해요.
낮에는 열이 떨어지고 밤에 열이 다시 오르면서 오르락내리락합니다. 오전에 열이 떨어져도 밤에 다시 오르지 않아야 완전히 떨어진 상태입니다. 아침에 바로 학교에 보내기보다 저녁까지는 기다리는게 좋습니다.  


열은 며칠 동안 날 수 있어요.
아이들의 열은 3일에서 길게는 일주일까지 지속할 수 있습니다. 아직 면역력이 약해서 병균을 이겨내는 데 시간이 필요합니다. 고열이 오래 지속하면 일반적인 열감기가 아닌 다른 질환인지 병원에서 다시 한 번 진찰을 받아 보세요.   

 

모던한의사48.jpg


해열제, 이렇게 사용하세요


If your child is older than 6 months and has a fever, she probably does not need to be treated for the fever unless she is uncomfortable. 6개월 이상의 아이가 불편하지 않으면 대개 열을 치료할 필요는 없다. [미국소아과학회]


Do not use antipyretic agents with the sole aim of reducing body temperature in children with fever. 오직 체온을 내릴 목적으로 해열제를 사용하지 말아라. [영국국립임상연구원]


Antipyretic agents do not prevent febrile convulsions and should not be used specifically for this purpose. 해열제는 열성 경련을 예방하지 않고, 열성 경련을 예방할 목적으로 사용해서는 안 된다. [영국국립임상연구원] 


알고 있던 상식과 다르죠? 열은 무섭다 보니 인터넷 공간에 잘못된 정보가 있습니다. 해열제는 열을 치료하는 약이 아니라 불편함을 잠시 줄이는 약입니다.


몇 도에 해열제를 사용하라는 기준은 없습니다. 체온보다 아이가 힘든지가 더 중요합니다. 39℃인데 힘들지 않다면 꼭 해열제를 복용하지 않아도 됩니다. 실제로 이 정도 체온에서 이마를 만져보지 않으면 열이 나는지 모를 정도로 잘 노는 아이들이 많습니다. 반면에 38에서 힘들고 쳐지고 편도가 부어 아파하면 해열제를 사용하세요. 해열제의 진통 작용이 아이를 편하게 해줍니다.


, 6개월 미만에서는 체온이 중요합니다. 3개월 미만은 38℃, 6개월 미만은 39℃가 넘으면 밤 중이라도 응급실에 가서 정확한 진찰을 받아보세요.혹시라도 폐렴, 요로감염, 뇌수막염과 같은 걱정해야 할 질환의 가능성이 있기 때문입니다.


아이가 열이 나면 이렇게 해열제를 사용하세요.


1단계 저녁쯤 열이 오르면?
열은 꼭 병원에 가기 힘든 저녁에 오릅니다. 저녁쯤에 열이 살짝 오르기 시작하고 아이가 힘들지 않으면, 아직은 해열제를 복용하지 않아도 됩니다.


2단계 자기 전에 열이 더 오르면?
열이 39가까이 점점 오르는 흐름이면 해열제를 복용해도 됩니다. 자는 동안 열이 오를 수 있고, 해열제의 진통 효과로 잠을 더 푹 잘 수 있거든요. 만약 39가 넘는 고열이고 아이가 많이 힘들면 당연히 복용해야겠죠?


3단계 자는 동안 열이 다시 오르면?
해열제를 복용하고 4~6시간 후 약효가 떨어지면 열이 다시 오릅니다. 이 때 열이 높지 않고 아이가 잘 자면 깨워서 먹일 필요는 없습니다. 만약 해열제를 복용해도 여전히 고열이고 아이가 힘들면, 시간 간격에 맞춰 해열제를 복용하세요.


4단계 낮에 열이 떨어지면?
낮에는 보통 체온이 조금 내려갑니다. 체온이 높지 않고 아이가 힘들지 않으면 해열제를 복용하지 않아도 됩니다. 저녁에 다시 오를 수 있으니 주의 깊게 체온을 살펴보세요. 만약 체온이 내려가지 않고 여전히 고열이면 시간 간격에 맞춰 해열제를 복용하세요.  

 

미온수 마사지는 이제 그만


미지근한 물에 목욕을 시키거나 냉각 담뇨를 사용하는 것은 해열을 시키는 데 효과적이지 못하다. [홍창의 소아과학]


최근 미온수 마사지에 대한 지침이 변경되었습니다. 그래서 이제는 미온수 마사지를 하지 않아도 됩니다. 실제로 미온수마사지 체온이 내려가는 효과는 미미합니다. 그에 비해 아이의 불편감은 크죠. 아이를 힘들게만 하고 체온이 별로 내려가지 않는다면 도움이 되지 않겠죠? 예외적으로, 열사병 또는 신경학적 장애가 있어 정상적인 체온 조절이 어려운 경우에는 미온수 마사지가 도움이 되지만, 대부분의 아이들에게는 해당하지 않습니다.

 

한의원 감기약도 함께 사용하세요.


한의원에 가면 열이 날 때 복용하는 감기 한약이 있습니다. 열을 이겨내는 면역력을 더하고 염증을 줄이는 작용을 합니다. 최근에는 독감에서 타미플루와 한약을 함께 복용하면 열이 더 빨리 떨어진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되었습니다. 열이 안 떨어지고 고열로 힘들면 감기 한약도 함께 사용해보세요.


베이비트리 열.jpg


Viewing all articles
Browse latest Browse all 4145

Trending Artic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