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antcast
Channel: 베이비트리
Viewing all articles
Browse latest Browse all 4145

홍역의 원인, 증상, 치료, 예방접종

$
0
0
안녕하세요. 피부과 전문의 닥터더마 정성규입니다. 
​요즘 대구에서 홍역이 유행하여 확진자가 점점 늘어나고 있습니다. 환자와 접촉하여 감염 가능성이 있는 사람이 수천 명에 달해 많은 사람이 불안해하고 있습니다.
​추가적인 홍역 유행을 막고 정확한 정보전달을 위하여 다양한 자료를 수집하고 공부하여 글을 올리게 되었습니다. 이번 글을 통해 홍역에 대해 많은 사람이 정보를 얻고 홍역의 전파를 막는 데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이번 글은 질병관리본부 자료와 피부과학책을 먼저 참고하였습니다.
​홍역의 원인, 증상, 예방, 치료 이외에도 마스크선택, 전염 기간 및 격리 기간 등에 대해서도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 홍역의 원인

홍역의 원인은 홍역바이러스(measle virus)​입니다.
그림1.jpg» <사진 1> 바이러스 예시. 픽사베이 제공.

사람은 자연계에서 유일한 숙주로 호흡기 분비물, 비말 등의 직접 접촉이나 공기 중으로 홍역바이러스에 전염됩니다. 

2. 홍역의 증상

잠복기는 7~21일 정도이며 전구 증상이 있습니다. 40도를 넘나드는 고열과 함께 3C 징후가 피부발진 전에 나타납니다. ​

3C 징후

(1) Cough 기침
(2) Conjunctivitis 결막염
(3) Coryza 콧물

3가지를 말합니다.
​이후 아래 어금니 근처의 입안에 흰색 반점이 나타나는데 이를 Koplik 반점이라 부릅니다.
그림2.jpg» <사진 2> Koplik 반점. 출처 질병관리본부 홍역관리지침.

피부 증상은 귀 뒤부터 시작되어 이마 라인을 따라 얼굴로 퍼집니다.
1~2일이 지나면서 몸통, 팔다리 손발바닥에도 발생합니다. 후반기로 가면 병변이 융합되며 4~5일 정도 지속되다가 피부 병변과 다른 증상들이 사라지게 됩니다.
그림3.jpg» <사진 3> 홍역. 출처 질병관리본부 홍역관리지침.

일부 환자에서는 중이염, 기관지염, 심한 경우에는 폐렴이나 뇌염 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3. 홍역의 전염 기간, 격리

홍역의 전염 기간, 격리 기간은 발진 시작 4일 전부터 발진 시작일로부터 5일까지입니다. 따라서, 이 기간에는 어린이집, 유치원,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등의 등원을 하면 안 됩니다. 
필요한 경우 격리치료 및 가택격리 등을 철저히 준수해야 합니다. 
발진시작 전엔 콧물, 결막염, 기침, 발열 등의 전구증상을 통해 홍역을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그림4.jpg» <사진 4> 홍역의 전염 기간. 출처 질병관리본부 홍역관리지침.

4. 홍역의 예방

홍역예방접종은 필수예방접종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가장 중요한 건 예방접종을 통해 면역을 획득하는 것입니다.
홍역 환자와는 접촉을 피하는 것이 좋으며, 본인이 증상이 있다면 다른 사람과의 접촉을 피하고 꼭 마스크를 착용하고 병원에 방문해야 합니다.
마스크의 경우 KF94를 권장하며 호흡이 힘든 소아나 임산부, 그리고 KF94를 구하기 힘들다면 KF 80 을 권장합니다.
그림5.jpg» <사진 5> 마스크. 사진 픽사베이.

병원 원장님들도 의심 환자가 내원한다면 보건소 신고와 환자격리와 함께 직원들 예방접종 관리를 시행하고, 면역력이 없는 의료진은 홍역 환자 진료를 금지해야 합니다.

5. 대구지역 홍역 MMR 가속접종

​원래 MMR 백신은 12~15개월에 1차 접종, 만4~6세에 2차 접종을 시행합니다. ​하지만, 대구지역에 한해 지금은 빠른 항체 형성이 필요한 상황이라 6~12개월 사이의 영아도 조금 당겨서 1차 접종을 시행하도록 권고합니다.
12개월이 넘은 아이들 중 2차 접종을 마치지 않은 경우에는 상황에 따라 조기 접종을 하도록 안내하고 있습니다. 
상황에 따라 변수가 있으니 가까운 소아과에 문의 바랍니다. 

6. 홍역의 치료

홍역의 치료는 고열로 인한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한 소염진통제, 해열제 등이 사용되며 2차 세균감염이 의심될 경우에는 항생제를 사용하게 됩니다. 1세 이하의 영아나 임산부, 면역억제 환자는 만약 홍역 환자와 접촉하였다면, 꼭 병원을 방문하여 의사와 상담해야 합니다.(이 경우 상급병원을 이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홍역에 대한 항체가 없는 경우 환자와 접촉 후 72시간 이내에 예방접종을 맞을 경우 홍역을 예방하거나 증상을 줄일 수 있습니다.​

전염력이 매우 높은 질환인 홍역.
의심된다면 다른 사람과 접촉하지 말고 바로 마스크를 착용하고 가까운 소아과나 내과에 내원하시기 바랍니다. 
이상 닥터더마 정성규였습니다.​

<참고문헌>
1. 대한피부과학회 교과서 편찬위원회. 피부과학 제 6판. 대한의학서적. 2014: 476.
2. 질병관리본부. 홍역관리지침.

Viewing all articles
Browse latest Browse all 4145

Trending Artic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