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의 마을공동체 사업에 참여하는 시민들 가운데 여성이 78.7%(2013년 기준)다. 그러나 이들의 활동은 경제적 이익은 얻지 못하는‘자원봉사’ 수준에 그치는 경우가 많다. 이를 경제 활동과 연결시킬 수는 없을까?서울시가 여성들의 마을 활동을 ‘사회서비스 일자리’로 바꿔 사회적 경제와 여성정책이란 두 마리의 토끼를 잡겠다고 나섰다. 여성의 마을 활동이 협동조합이나 사회적기업, 마을기업 형태를 갖춰 사회적 경제로 진입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지속적인 일자리를 만들겠다는 것이다. 박원순 시장은 5일 이런 내용을 핵심으로 한 올해 여성정책 방향을 발표했다.대표적 정책은 2018년까지 늘릴 계획인 국공립어린이집 1000곳 가운데 100곳을 마을 여성들이 모인 협동조합이 운영할 수 있도록 하는 ‘서울형 카라박 프로젝트’다. 협동조합이 어린이집 건설과 운영에 나서며 조합원들의 일자리를 만들어낸 이탈리아 ‘카라박 프로젝트’를 모델로 했다. 이성은 서울시 여성정책기획팀장은 “마을 여성들의 지역활동이 경제적 유인에 따라 더욱 활성화되고, 더 안심하고 아이를 맡길 수 있다”고 말했다.매년 340억원씩 투입돼 결식 어린이에게 제공되는 급식카드 대신 마을 여성들이 도시락을 공급하는 ‘집밥 프로젝트’도 제시했다. 급식카드는 한 끼 금액이 짜장면 한 그릇 값도 안 되고, 가맹식당도 적어 아이들이 편의점에서 인스턴트식품으로 끼니를 때운다는 지적이 제기돼왔다. 이를 2018년까지 ‘집밥’으로 바꿔 지역 여성들과 결식 아동이 ‘윈윈’할 수 있게 하겠다는 것이다. 박 시장은 “여성의 삶을 바꾸는 서울이 아니라, 서울의 삶을 바꾸는 여성이 서울시 여성정책의 캐치프레이즈”라고 말했다.음성원 기자 esw@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