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다옥 교사의 사춘기 성장통 보듬기
“엄마한테는 숨길 마음이 안 생겨. 결국엔 다 아니까.” 큰애가 말한 적이 있다. 사춘기 초기에 몇 건의 거짓말이 크게 걸리고 난 후 제법 시간이 지났을 때 한 말이다. 물론 아직도 작은 거짓말들을 하는 것 같다. 습관적이거나 심각하고 위험한 거짓말은 아닌 것 같아 내심 다행스러워하고 있고, ‘거짓말이 통하지 않는다’는 기본적인 생각이 변하지 않도록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한번은 담임선생님의 무게감 있는 권유로 상담실에 오게 된 아이가 있었다. 상담을 받으러 온 것에 대해 어떤지를 물었더니 “안 좋죠. 엄마랑 선생님이 상담받아보라고 해서”라고 말했다. 담임선생님과 엄마가 상담을 권유한 이유에 대해서는 자신한테 거짓말하는 문제가 있다고 했다. “거짓말을 고치고 싶긴 해요. 그런데 그 순간이 다가오면 빨리 모면하고 싶은 마음에 입에서 툭 튀어나와요. 엄마가 화낼 때 무서워요. 왠지 엄마한테 혼나지 않으려면 거짓말을 해야 할 것 같아요.”거의 모든 아이들이 거짓말을 한다. 아이들은 커가면서 자연스럽고 정상적인 과정으로 거짓말을 하게 된다. 거짓말은 사실을 있는 그대로 말하는 것보다 더 높은 단계의 기술이라는 말도 있다. 아이들은 성장하면서 더 정교한 거짓말을 한다. 그러니 “우리 아이는 절대 거짓말 못해요(안해요)”라는 말은 하지 말자. 내가 우리집 착하고 순진한 아이에게 놀랐던 것도 눈 하나 깜짝 안 하고 자연스럽게 거짓말을 하는 모습 때문이었다. 학교에서 만나는 아이들도 내 아이처럼 진정성 있는 얼굴로 거짓말을 하는 걸 보곤 한다. 도리어 억울해하는 모습을 볼 때는 ‘내가 잘못 생각했나?’ 싶을 정도다. 아이들의 거짓말을 구별하는 게 쉽지 않지만, 수준 높은 기술이라고 권장하거나 두고 볼 수는 없는 일이다. 잦은 거짓말은 문제가 있다는 신호다.사춘기가 되고 아이들 삶의 폭이 넓어질수록 거짓말의 양상도 다양해지는 것 같다. 단순히 어떤 일을 하기 싫어서, 혼나거나 벌 받는 것을 모면하기 위해서, 관심을 끌거나 과시하기 위해서, 우정을 지키기 위해서, 자신의 이익을 위해서, 다른 심각한 문제를 숨기기 위해서 등 여러 가지 이유로 거짓말을 한다.거짓말하는 버릇을 고쳐놓겠다고 매를 들기도 하고 동네 파출소에 끌고 가는 경우도 있는데, 효과적이지 않다. 매 맞는 아픔과 무서움, 수치심을 알게 되면 거짓말을 하지 않을 것 같지만, 그렇지 않다. 위의 아이처럼 그 상황을 피하기 위한 거짓말이 자동으로 나오기도 하고, 더 교묘한 거짓말을 만들어내게 된다. 부모에 대한 거리감이나 반항심을 키우기도 쉽다. 이 문제도 결국 대화와 관계로 풀어나가야 한다. 또 “커서 뭐가 되려고 벌써부터 거짓말을 하니?”, “입만 열면 거짓말이다”, “거짓말쟁이”와 같은 말은 거짓말을 한 행동이 아닌 아이의 존재 자체를 비난하고 거부하는 게 된다. 이로 인한 상처는 깊고 오래간다.아이가 거짓말을 한다면, 우선은 거짓말을 하게 된 상황을 살펴보고 아이의 행동을 이해하려는 마음이 필요하다. 아이의 거짓말이나 행동에 동의한다는 의미가 아니다. 아이의 마음에 관심을 가져야만 도울 수 있다. 그렇지 않고서 왜 거짓말을 했는지를 캐묻기만 한다면 아이가 더 거짓말을 하게 된다.만약 거짓말을 할 수밖에 없는 상황에 처해있다면, 아이에게 처벌을 하거나 압박을 가하는 것이 별 효과가 없다. 아이가 지킬 수 없는 규칙이나 제한은 불필요하다. 규칙이나 제한은 아이를 돕기 위한 것인데, 도리어 아이를 망치고 괴롭히는 작용만 한다면 조정을 하는 것이 맞다. 거짓말을 적게 하길 바란다면 아이에게 지켜야 할 바를 분명히 정하고 지속적으로 지키도록 요구해야 한다. 약속이나 규칙을 정할 때 아이의 참여도 필요하고, 특별한 일이 생겼을 때는 예외도 인정해줄 수 있어야 한다.거짓말한 아이들을 궁지에 몰아넣지 말기. 증거를 손에 쥐고 아이가 사실대로 말하는지 계속 거짓말을 하는지 시험하기도 하는데, 이 방법은 관계를 해치기도 하고 성공률도 낮다. 사춘기쯤 되면 증거가 바로 눈앞에 있지 않고서는 잘 인정하지 않는다. 억울해하며 더 방어적으로 나오기 쉽다. 결국 증거를 들이밀며 아이에게 굴욕감을 느끼게 하는 것이 얼마나 도움이 될 것인가. 아이를 이기는 것이 목적이 아니라는 것을 기억할 필요가 있다.그리고 정직이 인간관계와 삶에서 중요한 가치이고 실제로도 좋은 작용을 한다는 것을 가르쳐야 한다. 부모가 모범을 보여야 할 부분이다. 진실을 말할 때 거짓말을 하는 것보다 더 큰 보상이 주어져야 한다. 거짓말로 인한 책임이 없어진 것은 아니다. 사과나 배상을 해야 할 대상이 있다면 그렇게 할 수 있도록 도우면 된다.윤다옥 한성여중 상담교사·사교육걱정없는세상 노워리 상담넷 소장
윤다옥 한성여중 상담교사·사교육걱정없는세상 노워리 상담넷 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