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antcast
Channel: 베이비트리
Viewing all articles
Browse latest Browse all 4145

아내는 제가 가족보다 스마트폰을 더 좋아한다고 하는데…

$
0
0
스마트 상담실 
스마트폰 사용 조절에 앞서 스트레스 환경 살펴야
30대 직장인입니다. 업무나 대인관계를 위해 스마트폰은 필수품이니 없을 때의 불안함은 당연한 거라 생각했습니다. 그런데 요즘 집에 있을 때 전화기에 빠져 있는 시간이 점점 길어집니다. 스마트폰을 끄고 나면 예전에는 스트레스가 해소된다는 느낌이었는데, 요즘엔 공허하고 시간을 허비한 것 같아 후회되기도 합니다. 아내는 제가 가족보다 스마트폰을 더 좋아한다고도 하는데, 중독인가요?

스마트폰과 인터넷이 없는 생활을 실천해보면 일상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 알 수 있습니다. 스마트폰을 쓸 수 없는 상황에서 먼저 불편함을 경험합니다. 필요한 정보를 바로 알기 힘드니 답답하고, 여가가 무료해집니다. 한편 자유로움을 느낄 수도 있습니다. 일과 다른 사람들을 위한 시간이 줄어드니 나를 위한 여유를 누릴 수 있습니다. 스마트쉼센터(m.iapc.or.kr)에서 스마트폰 이용 상태를 점검해보시기 바랍니다. 점검 결과 중독 위험군이면 생활 개선이 필요합니다.

스마트폰을 놓지 못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많은 직장인들이 업무와 대인관계로 인한 스트레스 때문이라고 합니다. 과중한 업무와 과도한 경쟁의식, 성과 압박 등으로 긴장감과 좌절감을 느낄 수 있습니다. 상사·동료와의 갈등이나 고용 불안 등 환경적 요인이 더해지면 심적 고통이 심한데, 가족을 생각하면 참는 것 외에 방법이 없어 보입니다. 그렇다고 집에서 편히 쉬기도 힘듭니다. 육아와 가사, 내집 마련까지 과업의 끝은 보이지 않고, 몸은 피곤합니다. 그런데 스마트폰만 있으면 언제든 내가 원하는 대로 할 수 있고, 많은 사람들과 교류하는 것 같아 위로가 됩니다.

권미수 한국정보화진흥원 디지털문화본부장
권미수 한국정보화진흥원 디지털문화본부장
그런데 스마트폰이 없을 때 불안하고 사용 조절이 힘들다면 경고등이 켜진 것입니다. 이런 상황은 자신보다 주변 가까운 사람들에 의해 인지되기 쉽습니다. 스마트폰 사용뿐만 아니라 스트레스 관리 방법에 변화가 필요한 시점입니다. 우선 스마트폰 사용 원칙을 세워야 합니다. 스마트폰 사용 시간과 용도를 정하고 여가시간에는 가급적 사용하지 않기로 합니다. 스마트폰을 통해 얻은 것과 잃은 게 무엇인지 생각해 보시기 바랍니다. 고민의 방향은 스마트폰 안 쓰는 게 아니라, 선용과 진정한 소통입니다. 예를 들어 스트레스 해소를 위해 목적 없는 인터넷 검색 대신 좋아하는 음악이나 운동을, 자기 전 인터넷 커뮤니티 투어 대신 아내와 함께 웃을 수 있는 방법을 의례화하는 것입니다. 또한 가족관계는 예측할 수 없는 사회적 환경에서 적응하기 위한 버팀목입니다. 물론 버팀목을 튼튼히 하려면 고민과 연습이 필요합니다. 가족과의 소소한 행복을 찾는 것부터 시작해보시기 바랍니다.

권미수 한국정보화진흥원 디지털문화본부장

Viewing all articles
Browse latest Browse all 4145

Trending Artic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