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antcast
Channel: 베이비트리
Viewing all articles
Browse latest Browse all 4145

45살 이하 젊은 남성 뇌졸중, 흡연이 주된 위험요인

$
0
0
이주의 건강 화제
45살 이하로 상대적으로 젊은 나이에 뇌졸중에 걸린 남성들은 절반가량이 과다한 흡연 때문이라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이에 견줘 노인층에서는 고혈압이 가장 주요한 위험 요인이었다. 뇌졸중은 뇌에 혈액을 공급하는 뇌혈관이 막히거나 터져 뇌 조직에 혈액 공급이 되지 않아 뇌세포가 죽으면서 나타나는 신경학적 증상을 말한다. 크게 뇌출혈(출혈성 뇌졸중)과 혈관이 막혀서 발생하는 뇌경색(허혈성 뇌졸중)으로 구분하는데 우리나라는 전체 뇌졸중의 70~80%가 뇌경색이다.

배희준 분당서울대병원 신경과 교수, 박태환 서울의료원 전문의 팀은 2008~2010년 전국 9개 대학병원과 지역 뇌졸중센터에 입원한 급성 뇌경색 환자 5107명을 대상으로 어떤 위험요인이 뇌졸중 발생 가능성을 높이는지 분석했다. 또 국민건강영양조사에서 수집된 건강한 사람들과 비교해 생활습관이나 과거 병력 등에서 어떤 차이가 있는지 조사했다.

분석 결과 45살 이하로 상대적으로 젊은 남성 뇌졸중 환자의 45%가 흡연 때문에 뇌졸중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다음의 위험요인은 고혈압으로 29%를 차지했다. 46~65살 중년 남성의 경우에도 흡연이 37%로 가장 높았고 이어 고혈압(23%) 순이었다. 여성의 경우 흡연자가 많지 않아 흡연과 뇌졸중의 관련성이 그다지 나타나지 않았다.

66살 이상 노인에서는 고혈압이 뇌졸중의 주된 위험요인임이 이번 연구에서도 확인됐다. 고혈압이 차지하는 비율은 남녀 각각 24%, 23%로 남녀 모두 고혈압이 가장 많았고, 이어 뇌졸중의 과거력이 각각 20%, 17%였다. 66살 이상 남성의 경우 세번째 위험요인은 흡연이었으며, 여성은 당뇨로 집계됐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를 통해 청장년 남성에서는 흡연과 고혈압이, 노인에서는 고혈압과 뇌졸중의 과거력이 뇌졸중 발생의 주요 위험요인이라는 사실을 밝혀낸 데 의미가 있다고 설명했다. 배희준 교수는 “우리나라 사람들을 대상으로 뇌졸중에 걸리는 위험요인을 나이대에 맞게 분석했다는 데에 의미가 있다”며 “뇌졸중을 예방하려면 혈압 조절과 함께 청장년은 담배를 피우지 말고, 노인은 뇌졸중의 재발을 막는 게 가장 중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 결과를 담은 논문은 이 분야의 세계적인 학술지인 <뇌졸중 저널> 최근호에 발표됐다.

김양중 의료전문기자

Viewing all articles
Browse latest Browse all 4145

Trending Artic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