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antcast
Channel: 베이비트리
Viewing all articles
Browse latest Browse all 4145

고령출산 10년새 2배

$
0
0
4명중 1명이 35살 이상
첫 출산 연령은 31.2살
결혼과 출산이 늦어지면서 35살 이상 고령산모의 비중이 10년 새 2배 이상 늘어 4명 가운데 1명 꼴인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별 산모의 비율
연령별 산모의 비율
통계청이 24일 발표한 ‘2015년 출생·사망통계’를 보면, 산모의 평균 출산연령은 32.23살로 1년 전보다 0.19살 높아졌다. 첫 아이를 출산하는 여성의 평균 연령도 31.21살로 전년(30.97살)보다 0.24살 많아졌다. 산모의 평균 연령이 높아진 것은 35살 이상 산모가 많이 늘어난 탓이다.

연령별 산모 비중을 보면 35~39살이 21%, 40~44살이 2.8%, 45살 이상 0.1% 등으로 고령산모가 23.9%를 차지했다. 35~39살 산모 비중은 전년(18.9%)보다 2.1%포인트 늘었고, 10년 전(9.3%)과 견주면 2.3배나 증가했다. 30~34살 산모는 2005년 40.8%에서 2014년 50.8%로 계속 늘다가 지난해(49.4%) 소폭 감소했다. 반면 20대 산모의 감소세는 뚜렷하다. 지난해 25~29살 산모는 21.6%로 10년 전(40.3%)보다 절반가량 줄었다.

연령별 출산율(해당 연령별 인구 1000명당 출생아 수)은 30대 초반이 116.8명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20대 후반(63.1명)과 30대 후반(48.3명) 차례였다.

이지연 통계청 인구동향과장은 “초혼연령이 2014년 29.8살로 이미 30살에 근접해 있다”며 “첫 아이를 낳는 평균 출산연령이 31.2살로, 둘째나 셋째를 낳을 경우 대부분 35살을 넘어 선다”고 말했다.

지난해 전체 합계출산율은 1.24명으로 전년보다 0.03명 늘었다. 지역별로 보면, 세종이 1.9명으로 합계출산율이 가장 높았고, 서울이 1명으로 가장 낮았다.

김소연 기자 dandy@hani.co.kr



Viewing all articles
Browse latest Browse all 4145

Trending Artic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