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antcast
Channel: 베이비트리
Viewing all articles
Browse latest Browse all 4145

들쥐 등이 옮기는 가을철 열성질환 주의보

$
0
0
신증후군출혈열, 렙토스피라증 지난해보다 2배
초기 증상은 발열, 오한, 근육통 등 감기와 비슷
들쥐 서식지인 산, 풀밭, 논 등에서 감염 주의

보건당국이 주로 들쥐를 통해 옮기는 열성질환인 신증후군출혈열 등이 지난해에 견줘 크게 늘었다며 감염 예방에 주의하도록 당부했다.
26일 질병관리본부가 신증후군출혈열, 렙토스피라증 등 설치류 매개 감염병에 대해 올해 신고 건수를 집계한 결과를 보면, 지난해 같은 기간에 견줘 약 2배로 나타났다. 들쥐의 분변이나 소변 등에 들어 있는 바이러스가 원인인 신증후군출혈열의 경우 지난 25일까지 383건이 신고돼 지난해 같은 기간의 197건에 견줘 1.94배로 나타났고, 렙토스피라증은 올해 112건으로 지난해 57건보다 1.96배로 집계됐다. 렙토스피라증은 렙토스피라균에 감염된 쥐, 소, 돼지 등의 소변에 노출됐을 때 걸릴 수 있다. 두 질환 모두 초기 증상은 발열, 오한, 근육통, 두통 등으로 감기와 비슷하게 나타나지만, 폐나 신장 등에서 합병증이 나타나 악화됐는데도 적절한 치료를 받지 못하면 사망률이 5~20%에 이른다.

이들 질환의 예방법은 특히 10~11월은 들쥐 등 설치류의 서식지인 산이나 풀밭, 논 등에서는 실외 활동을 삼가는 것이다. 실외 활동 뒤에 귀가하면 반드시 옷을 세탁하고, 샤워나 목욕을 해야 한다. 렙토스피라증의 경우 물이 있는 논 등에서 작업할 때 감염 위험이 있으므로, 가을철 비가 온 뒤 논에서 작업할 때에는 장화나 고무장갑 등을 착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김양중 기자 himtrain@hani.co.kr


Viewing all articles
Browse latest Browse all 4145

Trending Artic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