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농도 미세먼지로 인한 불편이 커지는 가운데 정부가 인체 건강에 특히 유해한 지름 2.5㎛(마이크로미터·100만분의 1m) 이하 초미세먼지와 오존 발생 예보 서비스를 내년 5월부터 시행하기로 했다. 국립환경과학원이 중부권에 대해서만 하고 있는 미세먼지(PM10) 예보는 내년 1월부터 전국으로 확대하고, 매일 한번만 하던 예보도 내년 2월부터 2회로 늘린다.정연만 환경부 차관은 10일 정부세종청사에서 브리핑을 통해 안전행정부·보건복지부·식품의약품안전처·기상청 등 관계부처 합동으로 마련한 미세먼지 종합대책을 발표했다. 이번 대책은 최근 중국발 스모그의 영향으로 고농도 미세먼지가 잦아지면서 국민의 불안감이 높아진 상황에 대처하기 위한 것이다. 수도권에서 미세먼지가 하루 대기환경기준치인 1㎥당 100㎍(마이크로그램·100만분의 1g)을 12시간 이상 연속 초과한 사례는 지난해 3회였으나 올해 22회로 7배 이상 급증했다.환경부가 이날 발표한 초미세먼지 예보 계획은 2015년 1월로 잡혔던 시행 시점을 8개월 앞당긴 것이다. 미세먼지 예보제의 전국 확대도 애초 계획보다 한달 당겨졌다. 홍유덕 국립환경과학원 대기환경연구과장은 “국민 건강 보호를 위해 물리적으로 가능한 범위에서 최대한 시행 시점을 당긴 것”이라고 설명했다.환경부는 현재 서울에서만 하는 초미세먼지 경보제와 서울·경기·대전 등 7개 시·도에서만 시범 시행중인 미세먼지 경보제를 다른 시·도에서도 최대한 일찍 시행하도록 권고하기로 했다. 경보제는 대기 중 오염물질 농도가 건강에 유해한 수준으로 올라가면 지방자치단체장이 주의보나 경보를 발령해 주민에게 알려주는 제도로, 늦어도 2015년 1월부터는 대기환경보전법에 따라 전국에서 실시될 예정이다.김정수 선임기자 jsk21@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