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류·신발·가방 품질시비 심의해보니
소비자원 심의 의뢰 급증
롯데·뉴코아·현대 순으로 많아
소비자 과실은 17%에 그쳐
“행정낭비…백화점 적극 대응 필요”
백화점에서 판매한 의류·신발 등에 문제가 있어 소비자원에 심의를 의뢰한 제품 중 절반 이상에 ‘품질 하자’가 있는 것으로 드러나, 백화점이 소비자 피해를 적극적으로 보상해 주지 않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한국소비자원은 2011년부터 2014년 4월말까지 백화점이 소비자원 섬유제품심의위원회에 심의를 의뢰한 건수가 4554건으로 전체 심의 건수 2만2666건 중 20.1%에 달한다고 2일 밝혔다. 심의 결과 절반 이상인 2319건(50.9%)에 품질에 하자가 있는 것으로 확인됐고 소비자 과실은 286건(17.3%), 세탁업자 과실은 103건(2.3%)에 불과했다. 섬유제품심의위는 소비자원에 접수된 의류·신발·가방 등 섬유 제품 하자에 대한 원인 및 책임 소재를 규명하기 위한 심의 기구로 백화점은 소비자가 제품 문제를 제기했을 경우 소비자 동의를 받아 심의를 의뢰할 수 있다.
김선환 소비자원 서울지원 피해구제2팀 차장은 “백화점이 소비자 불만에 선제적으로 대응하지 않고 소비자원 판단을 통해서 보상해주겠다는 것으로 보인다. 행정비용도 낭비된다”고 말했다. 소비자원은 백화점의 심의 의뢰 건수가 2011년 1128건에서 2013년 1323건으로 늘었으며, 2014년 4월까지는 615건 접수돼 전년 같은 기간보다 94.6%나 늘었다고 밝혔다.
백화점별로는 의뢰건수는 롯데백화점이 1568건(34.4%)으로 가장 많았고 뉴코아백화점 984건, 현대백화점 788건, 신세계백화점이 537건으로 뒤를 이었다. 심의 건수 중 뉴코아백화점의 품질 하자 비율이 54.5%(536건)로 가장 높았으나 다른 백화점들도 대부분 50% 내외로 비슷했다.
소비자원은 품질 하자로 판명된 건수 중 91.9%는 백화점에서 이를 인정하고 환급·교환·수리 등 조치를 취했다고 밝혔다. 소비자원은 또 백화점들과 간담회를 열어 백화점 판매 제품 사후 서비스를 적극적으로 수행해 줄 것을 요청했다.
김효진 기자
(*한겨레 신문 2014년 7월 3일자)